━
금리 수퍼위크 개막
이번 주는 주요 중앙은행이 금리 결정을 내리는 ‘수퍼위크’다. 주인공은 미국이다. 세계 경제에 파급력이 큰 미국이 올해 첫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사실상 첫 인하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주에는 미국을 비롯해 일본,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 포함 14개국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국내외 투자자의 시선은 16~17일(한국시간 18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로 쏠린다. 상당수 중앙은행이 미국 관세정책 영향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에 기준금리 ‘동결’을 택할 확률
우량주식 이 높은 반면, 미국은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시장은 예측한다.
박경민 기자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이달 0.25%포인트 금리 인하에 나설 확률은 한국시간으로 14일 오후 4시 30분
WNTLRWJDQH 93.4%에 이른다. 더욱이 같은 시간 동결 확률(0%)보다 0.5%포인트 금리를 인하할 ‘빅컷’ 가능성(6.5%)이 더 높았다.
이달 Fed가 금리 인하로 정책 경로를 바꿀 것으로 시장이 확신하는 이유가 있다. 두 달 연속 나타난 ‘고용 쇼크’ 때문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농업을 제외한 신규 고용은 2만2000명으로 시장 예
한라공조 주식 상치(7만5000명)의 30%에 불과했다. 한 달 전에도 7월 고용 증가 폭은 시장 전망치(10만4000명)를 크게 밑도는 7만3000명을 기록했다.
고용지표가 악화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가 42명의 경제학자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는 연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틱챠트 . 이달은 물론 10월과 12월 FOMC에서도 Fed가 인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모건스탠리는 더 공격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달부터 내년 1월까지 네 차례 연속 금리를 0.25%포인트씩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통화정책은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Fed가 이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 한국(2.5%)과의 금리
보물섬릴게임 격차는 역대 최대인 2%포인트에서 1.75% 포인트로 좁혀진다. 박상현 iM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미 금리 차가 줄고 (달러 약세에 따른) 외국인 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되면 원화값이 오르고,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미 코스피는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웠다.
미국의 올해 첫 금리 인하 신호탄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강현기 DB증권 연구원은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Fed가 인하로 대응하는 ‘리세션(침체) 컷’에 가깝다”고 짚었다. 스탠퍼드 경제정책연구소의 다니엘 호르눙 연구원도 “인플레이션이 완만하게 오르는 동시에 노동지표가 뚜렷하게 악화하고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을 경고했다.
영국 중앙은행은 18일, 일본 중앙은행은 19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미국과 달리 이들 국가는 관세 영향과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리 동결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은행(BOJ)의 경우 관세 영향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퇴임 의사 표명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5회 연속 동결을 택하는 셈이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선진국이 금리를 묶어두고 ‘관망’에 나서는 분위기지만, 시장 불안은 여전하다. 유럽 재정 건전성 문제가 대표적이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지난 12일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프랑스의 재정 적자는 지난해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5.8%로 유로존 평균(약 3.1%)을 크게 웃돈다. 여기에 정국 혼란까지 겹치면서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졌다.
염지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