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 파칭코 어플 ⓢ㎨ 43.rzp469.top ㎬번역가 홍종락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스튜디오에서 ‘소설이 내게 말해 준 것들’ 집필 과정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신석현 포토그래퍼
같은 책을 읽어도 사람마다 느끼고 와닿는 게 천차만별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란 오랜 격언이 지금껏 통하는 이유다. 이른바 ‘책알못’(책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문학, 특히 소설 이해를 돕는 길잡이가 최근 나왔다. 24년간 해외 기독 서적 170여권을 우리말로 옮긴 베테랑 번역가 홍종락(54)이 국내외 문학 작품 15편을 해설한 책 ‘소설이 내게 말해 준 것들’(비아토르)이다.
그가 여러 권 번역한 영국 작가 CS 루이스의 비유를 빌면 이 책은 ‘번역가란 객석에 앉아 소설을 관찰하며 써
프로그램매수 내려간 독후감’이다. “직업상 책을 꼼꼼히 읽는 한 독자이자 신앙인”으로서 “나만의 객석에서 더 잘 보이고 느껴지는 바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그를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작가로서 펴낸 4번째 책입니다.
“양질의 소설을 읽으며 저만 간직하기 아까운 감동을 나누고자
태경산업 주식 썼습니다. ‘왜 이 작가를 좋아하는가’를 찬찬히 곱씹으며 주관적 감정을 객관적 글로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사랑엔 이유가 없지만, 그 족보를 따져볼 순 있지 않은가’란 생각으로요.
3년 전 펴낸 전작처럼 이번에도 동서양 문학 작품을 살핀 결과물입니다. 전작의 시즌 2 격이라고 할까요. 전작과의 차별점 중 하나는 딸의 삽화가 들어간 것입니다
황금성오리지널 . 이젠 사회인이지만 어린 시절부터 번역 원고 빈 공간에 제 캐리커처 등을 그려왔거든요. 책 분위기를 좀 더 유쾌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생각합니다.(웃음)”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 바실리 페로프의 ‘도스토옙스키의 초상’ 속 도스토옙스키의 모습(왼쪽)과 그의 최후의 작품인
재태크상품 ‘카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1880년 출판본 내지. 위키미디어 커먼즈
-“위대한 소설은 인간의 실상을 보여준다”고 했습니다.
“러시아 대문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카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이 대표적입니다. 욕망과 증오, 이성과 감정, 정의와 불의가 한데 얽힌 인간의 복잡한
씨엔조이 릴게임 내면을 집요하게 묘사한 수작입니다. 아름다우면서도 고통이 가득한 모순된 세상도 실감 나게 담아냈고요. 여기서 ‘파 한 뿌리’와 ‘대심문관(大審問官)’ 이야기 등 인간의 현실을 정면으로 대면하는 세 대목을 뽑아 3편의 글을 썼습니다.”
미국 작가 존 윌리엄스 생전 모습(왼쪽)과 그의 소설 ‘스토너’ 초판 표지. 위키미디어 커먼즈
-‘스토너’ 등 최근 작품도 소개했습니다.
“책 선정 기준이 딱히 있진 않았습니다. 원래 인간을 다루는 모든 작품엔 종교와 관련한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종교는 믿음과 정의, 용서와 희망과 같은 인간사 근본이 되는 이야기를 논하니까요. 결국 무언가에 의지하며 사는 게 인간이기도 하고요. 신앙인인 제 눈엔 이런 점이 잘 눈에 띄는 것뿐입니다.
농부의 아들이 영문학의 세계에 눈뜨고, 이에 힘입어 고단한 삶을 견뎌내는 ‘스토너’에선 학문을 종교의 대체품 삼는 인생을 발견합니다. 국내 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에서는 신앙에 헌신하듯 신념에 인생을 던진 한 가장의 기구한 삶을 나오고요. 이런 인물을 마주하면 제 신앙을 돌아보게 됩니다.
호불호가 갈릴 분석이긴 합니다. ‘뭘 그렇게 종교적으로 보냐’는 거지요. 일상에서 영성을 읽어내는 통찰이라고 봐주는 분도 있겠지만요.(웃음)”
-가장 힘들게 분석한 작품은 뭡니까.
“‘까라마조프씨네 형제들’의 대심문관을 주제로 쓸 때 굉장히 까다로웠습니다. 쓰다 포기하다를 반복하다 5개월여만에 완성했습니다. 신과 종교에 관한 워낙 거대한 주제라 굉장히 고심하며 썼습니다.”
나치 치하 네덜란드에서 유대인을 돕다 수용소에 갇힌 경험을 담은 ‘주는 나의 피난처’ 저자 코리 텐 붐의 생전 모습(왼쪽). 영문학자이자 기독교 변증가, ‘나니아 연대기’ 작가인 CS 루이스의 모습. 위키미디어 커먼즈, 국민일보DB
-유대인을 돕다 강제수용소에 간 코리 텐 붐의 회고록 ‘주는 나의 피난처’를 CS 루이스의 ‘기적’을 들어 해설한 것도 인상 깊습니다.
“책에서 저자는 수용소에서 경험한 소소한 기적을 두고 하나님께 감격합니다. 하지만 ‘나치란 거악(巨惡)이 그대로인데, 어떻게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느냐’란 반박이 나올 수 있겠지요.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라 꾹꾹 눌러뒀던 질문인데, 글을 쓰면서 루이스의 통찰과 문장이 떠올라 자연스레 답을 얻었습니다. 저자는 큰일을 방치하고 작은 일만 하는 절대자가 아닌 온갖 악한 상황에서도 동행하며 일하는 존재란 걸 발견한 것입니다.
아울러 이때 독서란 무엇인지를 숙고했습니다. 모든 책은 결국 ‘맹렬한 독자인 작가들의 독서 기록’ 아닐까요. 이를 읽는 건 책들이 서로 주고받는 거대한 대화 속에 귀를 기울이는 일이고요. 제가 글을 쓰며 루이스를 떠올린 건, 어쩌면 그 오래된 대화에 잠시 귀를 기울이다 제 식으로 몇 마디를 보탠 것이라 생각합니다.”
-번역과 글쓰기, 둘 중 무엇을 할 때 더 행복합니까.
“번역가는 직업이고 글 쓰는 건 취미라…. 취미 활동할 때가 더 즐겁지요. 하하! 쓰는 작업 자체만 보면 행복하다고 말하긴 힘들지만요. 다만 두 정체성이 서로의 작업에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합니다. 번역은 일종의 글쓰기 훈련이거든요. 좋은 글을 꼼꼼히 옮기다 보면 표현과 논리 전개 방식을 자연스레 익힐 수 있습니다. 진득하게 읽는 법도 배우고요.”
-자신만의 번역 원칙이 있습니까.
“번역 조언을 구하는 이들에게 ‘독자 입장에서, 순서대로 번역할 것’을 강조합니다. 글 순서가 논리의 흐름과 같을 때가 적잖거든요. 저자의 표현과 생각의 결을 미리 익히기 위해 번역 전 저자의 다른 책이나 같은 분야 책을 한두 권이라도 읽는 것도 권합니다.”
-독자에게 전하고픈 말이 있습니까.
“기독교 분야 번역가로 살며 여러 내용을 보고 익힌 걸 더 많은 이들과 나눠야 한다는 일종의 의무감이 있었습니다. 작가로서 제 활동은 이런 의무감의 산물입니다. 교리나 신앙의 원리를 삶으로 풀어내는 것, 문학은 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가장 적합한 매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소설은 절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도 비춰지는 은혜의 빛을 때론 희미하게, 때론 조금 더 선명하게 다각도로 보여줍니다. 이 책은 제가 여러 작품을 읽으며 발견한 그런 빛의 편린을 함께 나누고자 쓴 것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그 빛을 발견하고, 문학이 전하는 위로와 은혜를 함께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양민경 기자
[email protected]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