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외 사이트인 밍키넷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해외 서버를 통해 운영됩니다. 주된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밍키넷의 접속과 관련된 몇 가지 법적 이슈가 존재하는데요, 접속 방식과 법적 상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밍키넷이란?


밍키넷은 성인 전용 사이트로, 주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를 통해 제공되며, 해외 서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인터넷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밍키넷 접속 방법


한때 밍키넷은 HTTPS 주소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도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PC나 모바일에서 VPN이나 IP 우회를 통해 접속해야 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구글 재팬 등을 경유해 접속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습니다.



3. 밍키넷은 합법일까?


해외에서는 밍키넷이 명백히 합법적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로 운영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대한민국은 성인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HTTPS 차단 이후로는 밍키넷 역시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VPN이나 우회 접속을 통해 사이트에 접근하는 경우 법적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밍키넷은 해외에서는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성인 사이트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VPN을 통한 우회 접속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속 방식이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컨텐츠, HTTPS 차단, VPN 접속, 포르노 규제, 성인 만화, 웹툰,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우회 접속, 성인 동영상, 밍키넷 사이트, 18

산이정원 하늘마루에 설치된 유영호 작가의 '브리지 오브 휴먼'. 몸을 숙여 스스로 다리 역할을 하는 거인의 두 팔 위에 42명의 인간 군상이 보인다. 사진=박범준 기자



【해남(전남)=정순민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3월 횡성호수길(강원 횡성), 옻골마을(대구 동구), 면천읍성(충남 당진), 순창발효테마파크(전북 순창) 등과 함께 전남 해남 산이정원을 ‘2025년 강소형 잠재관광지’로 선정했다. 관광지로서 아직 인지도가 낮은 편이지만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숨겨진 명소'라는 의미다. 인근 바다를 메우고 작은 섬들을 연결해 지난해 5월 문을 연 산이정원은 개발된 전체 면적이 무려 16만평(약 53만㎡)에 달하지 국민임대주택기금 만 현재 일반에 공개된 면적은 5만여평에 불과하다. 계절이 가을로 접어드는 10월 초, 산이정원이 있는 전남 해남을 다녀왔다.




산이정원의 상징인 200년 된 동백나무




교통비 지급
가을로 접어드는 산이정원 흐름원





S자 형태로 심어진 핑크뮬리 너머로 산이정원의 상징인 동백나무가 보인다. 사진=박범준 기자



핸드폰창업
바다가 정원이 되다, 산이정원

산이정원이 위치한 전남 해남군 산이면 구성리 일대는 원래 바다였다. 여기에 방조제가 들어서면서 주변 풍경이 달라졌지만 소금기 가득한 땅은 그저 황무지에 불과했다. 우공이산(愚公移山), 이런 땅에 수목원을 만든다는 것은 무모한 도전처럼 보였다. 하지만 직장인을위한대출 결국 바다는 땅이 됐고, 그 땅 위에 풀과 나무가 자라 푸른 정원이 됐다. 처음 방조제를 만들었을 때(1981년)를 기점으로 하면 반세기, 이곳에 국내 최초의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솔라시도(Solaseado)가 조성된 것을 첫 시작으로 보면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셈이다.

지난 2020년 산이정원 조성 사업을 본격 한국sc저축은행 적으로 시작하면서 처음 옮겨 심은 나무가 지금은 산이정원의 상징이 된 동백나무다. 산이정원 초입 노리정원 야트막한 언덕 위에 우뚝 서있는 이 동백나무의 나이는 200살이 훌쩍 넘는다. 산이정원에서 가장 '늙은' 이 나무는 원래 이곳이 바다였을 때 어느 섬마을 들판에 심어져 있던 것으로, 소를 매놓은 줄에 쓸리고 농기계에 치이면서 생긴 상처가 가득했다고 한다. 긴 세월 동안 마을을 지키던 나무가 고통받는 걸 보다 못한 밭 주인이 이 나무를 산이정원 측에 기증했고, 산이정원은 이 나무를 치료하고 보살핀 끝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심는데 성공했다. 동백나무 한 그루가 바닷바람을 맞으며 서있는 이 장소는 산이정원을 찾는 방문객이라면 누구나 인증샷을 남기는 사진 명소가 됐다.



산이정원 내 최고의 포토스팟으로 꼽히는 '브릿지 오브 휴먼'. 사진=박범준 기자



산이정원에서 멋진 사진을 건질 수 있는 또 다른 장소는 대형 조각 작품 '브릿지 오브 휴먼(Bridge of Human)'이 두 팔 벌려 서있는 하늘마루다. '브릿지 오브 휴먼'은 한 남자가 다소곳이 인사하는 '그리팅 맨'으로 유명한 조각가 유영호(60)의 작품으로, 몸을 숙여 스스로 다리 역할을 하는 거인의 두 팔 위에 올라 앉은 42명의 인간 군상이 인상적이다. 마치 하늘을 향해 비상하려는 듯한 형상의 이 작품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연결과 소통을 꿈꾸고 있는 듯해, '미래 정원도시'를 지향하고 있는 산이정원의 설립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너른 잔디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하늘마루는 특히 해질녘 풍경이 아름다워 해가 뉘엿뉘엿 질 무렵 '브릿지 오브 휴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면 누구나 인생샷을 남길 수 있다.

산이정원은 이제 갓 돌을 지난 신생(新生) 정원이어서 키가 큰 아름드리 나무나 울창하고 깊은 숲을 기대하긴 어렵다. 대신 광활한 대지가 선사하는 평화로움과 그곳을 요란하지 않게 채우고 있는 나무와 풀들이 방문객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산이정원의 시작점인 맞이정원을 출발해 물이정원, 약속의 땅, 하늘마루 등을 거쳐 나비의 숲, 흐름원, 산이폭포, 노리정원 등 13개 테마정원을 다 돌아보는 데는 약 2시간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바다를 육지로 만든 사람들의 꿈과 열정을 상상하며 걸을 수 있는 '기억코스'를 선택하면 1시간 내 주파도 가능하다. 하지만 쉬엄쉬엄 걸으며 정원의 이곳저곳을 둘러보길 권한다.



전남 해남과 진도 사이를 잇는 진도대교와 명량해상케이블카 너머로 해가 지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울돌목 찍고 대흥사, 땅끝마을로

땅끝마을 해남에 왔다면 산이정원 말고도 둘러볼 만한 곳이 많다. 이순신 장군이 12척의 배로 왜군을 물리친 명량대첩 격전지에 조성한 해남 우수영국민관광지와 차(茶) 문화의 성지로 알려진 천년고찰 대흥사, 한반도 땅의 끝이자 시작점인 땅끝관광지 등이 그런 곳이다.

우수영관광지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명량해상케이블카 타기다. 지난 2020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명량해상케이블카는 해남 쪽 옛 전라우수영 자리에서 진도 쪽 망금산 정상까지 1㎞ 남짓한 거리를 오가는 바다 위 케이블카로,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 맞서 조선을 지켜낸 명량대첩 승전지 울돌목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물때를 잘 맞추면 회오리처럼 휘몰아치는 울돌목의 거친 물살이 케이블카 위에서도 내려다 보여 묘한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또 우수영관광지에는 바다 위에 투명 유리 바닥 데크로 만든 스카이워크가 설치돼 있어 '바다가 소리 내어 운다'는 울돌목의 급류와 물살을 보다 가까이서 느낄 수 있다.
우수영관광지에선 흔히 '고뇌하는 이순신'으로 불리는 작은 동상을 찾는 재미도 남다르다. 이 동상은 기존의 영웅적이고 위풍당당한 이미지 대신 고민하고 숙고하는 '인간 이순신'의 면모가 잘 드러나 있어 2008년 설치 당시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는데, 동상의 크기가 의외로 작고 밀물 땐 발목 높이까지 물이 차올라 찾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하면 울돌목 건너 진도 쪽 이충무공 승전공원에 설치된 이순신 동상은 긴 칼을 옆에 차고 세계를 호령하는 늠름한 모습을 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다성(茶聖)' 초의선사가 기거했던 대흥사 일지암





대흥사 내 차문화체험관





땅끝모노레일에서 내려다 본 땅끝마을



두륜산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해남 대흥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등재될 만큼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그리고 또 하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차 문화의 성지로 유명한데, 이는 이곳에 '다성(茶聖)' 초의선사(1786~1866)가 말년을 보낸 일지암(一枝庵)이 있어서다. 초의선사는 여기서 새로운 종자의 차를 가꾸고 만들었을 뿐 아니라 '동다송(東茶頌)', '다신전(茶神傳)' 같은 다도의 고전으로 꼽히는 책들을 집필했다.

이런 전통을 이어받아 대흥사는 절집에서 하루 쉬어갈 수 있는 템플스테이도 '다선일미(茶禪一味)'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한다. 다선일미란 '차와 선이 하나'라는 뜻으로, 여기에는 명상과 참선 외에도 차를 직접 만들어 마시고, 스님과 차담을 나누는 등 마음챙김의 시간이 포함돼 있다. 또 오는 25~26일엔 대흥사가 직접 마련한 들차회가 절집 곳곳에서 열릴 예정이어서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계절을 즐기며 차 한 잔의 사색에 잠겨볼 수도 있다.
이제 해남에서 마지막으로 가볼 곳은 이 땅의 끝이자 시작점인 땅끝마을이다. 대흥사에서 땅끝마을까지는 자동차로 40~50분 거리로, 과거 갈두(葛頭) 또는 토말(土末)이라 불리던 곳이다. 갈두산 사자봉 정상에 세워진 땅끝전망대에선 바다 위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섬들을 볼 수 있고, '여기는 땅끝 한반도의 시작'이라는 문구가 쓰여있는 땅끝탑 앞에선 멋진 인생샷을 남길 수도 있다.
[email protected] 정순민 기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