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사이트
연희현
0
8
09.14 14:17
밍키넷: 새로운 온라인 커뮤니티의 매력과 활용법
밍키넷이란 무엇인가?
밍키넷의 주요 기능과 특징
밍키넷을 활용하는 방법
밍키넷의 장단점 분석
밍키넷의 미래 전망
밍키넷이란 무엇인가?
밍키넷의 주요 기능과 특징
밍키넷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익명성 보장: 사용자들은 익명으로 활동할 수 있어, 부담 없이 의견을 나눌 수 있습니다.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 IT, 게임, 생활, 취미 등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실시간 채팅: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들과 채팅을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밍키넷을 활용하는 방법
밍키넷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합니다:
관심 있는 주제의 게시판 찾기: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게시판을 찾아 활동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참여: 질문을 하거나 의견을 나누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더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규칙 준수: 밍키넷의 규칙을 준수하며, 다른 사용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밍키넷의 장단점 분석
장점: 익명성 보장,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 실시간 채팅 기능 등이 있습니다.
단점: 익명성으로 인한 부작용, 일부 게시판의 관리 미흡 등이 있습니다.
밍키넷의 미래 전망
키워드: 밍키넷,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성, 게시판, 실시간 채팅, 밍키넷 트위터, 76
“철강·2차전지 사업도 허덕이면서 왜 해운사를 떠안으려 하나” “주주 의견은 무시하고 정부 뜻대로만 움직인다”
최근 포스코홀딩스 주주들의 반응이다. 포스코그룹이 해운사 HMM 인수와 관련해 사업성 검토에 나서자 두 주식 희비가 엇갈렸다. 5일 HMM 주가는 곧바로 반등했고, 포스코홀딩스는 하락했다.
포스코는 삼일PwC·보스턴컨설팅그룹(BCG) 등과 대규모 자문단을 꾸려 HMM 인수 타당성과 시너지 창출 가능성을 따져봤다. 검토 결과 포스코의 HMM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는 것.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대규모 인수 자금 부담과 배당 여력 감소를 걱정하며 불만이 가득한 상태다.
투자자 이탈은 단기 주가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 배경은 크게 네 가지다. 정부 주도디스플레이텍 주식
의 ‘정책성 인수’로 인해 주주가치 훼손, 해운 경기를 많이 타는 HMM 자체 리스크, 수 조원대에 달하는 인수합병(M&A) 리스크, 포스코의 철강·2차전지 등 핵심 사업과 무관한 해운사 인수에 대한 반감 등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미국주식
.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1870qrlz.jpg" data-org-width="700" dmcf-mid="WjsckSuSl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모바일릴게임접속하기
et/news/202509/14/mk/20250914104501870qrlz.jpg" width="658">
항구에 정박해 있는 HMM인테그랄호. <사진=HMM>
정부 주도 M&A에 뿔난 포스코홀딩스 주주
주가급락
주식시장 투자자들은 ‘정치적 변수’에 민감하다. 정치적 변수는 실적 추정치에 반영하기 힘든데다 변동성을 키운다는 것. 이재명 정부 들어 포스코그룹은 산업 재해와 관련해 질타를 받고 있다. 포스코그룹 건설사 포스코이앤씨가 먼저 화를 불러왔다. 올 들어 4명의 근로자가 사망했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정부에주식수익율
잘 보이기 위해 정부 입장에서 ‘애물단지’였던 HMM을 떠안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그룹 사업과의 전략적 시너지 여부를 검토헀다”고 답했다.
HMM은 2011~2016년 해운 시장 불황기에 부도 위기까지 갔었다. 2016년에는 한진해운이 파산하기도 했다. 결국 HMM이라도 살리기 위해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막대한 공적 자금을 집어 넣었다. 문제는 지원한 자금 대부분이 영구채(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였던 것.
전환가가 매우 낮아서 주식으로 바꾸면 엄청난 양의 신주가 발행되고,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정부 입장에선 자금을 회수하고 싶어도 주주들의 반발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HMM은 국내 유일의 대형 원양 컨테이너 선사라서 물류 산업을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총대’를 메야 하는 상황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3173rsjy.jpg" data-org-width="500" dmcf-mid="Yr8JiDXDy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3173rsjy.jpg" width="658">
HMM 현황. <그래픽=매경DB>
다른 대기업들은 “해운은 본업과 맞지 않고 변동성이 크다”며 인수에 소극적이다. 일부 포스코 주주들은 “왜 우리가 빚 많은 ‘집’(HMM)을 자진해서 돈 주고 사려 하느냐”며 볼멘 소리다. 주주들 입장에선 M&A 자금으로 쓰느니 차라리 배당이나 자사주 소각으로 보답하라는 속내가 담겨 있다.
소액주주들은 지난 봄의 ‘주주총회 사태’도 기억하고 있다. 지난 3월20일 포스코홀딩스 주총장 입구는 봉쇄됐다. 회사 측이 노조와의 갈등으로 일단 문 부터 막은 셈이다. 이에 일반 주주들은 주주 권리 행사가 막혔다며 강한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본업인 철강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와중에 중국의 철강 공급 과잉으로 이익이 감소세다. 미래 사업으로 강력하게 추진했던 2차전지 사업은 ‘전기차 수요 둔화 → 배터리 소재 사업성 악화 → 이익 감소 → 목표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3년 7월말 이후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계속 해서 하락세다. 당시 최고점 대비 반토막 이상 나버렸다.
태생이 국책기업···외국인까지 이탈하자 정부 입김
포스코홀딩스에 대한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2023년 초 까지만 해도 50%가 넘었다. ‘철강+2차전지’라는 사업 구조는 외국인 눈에도 매력적이었던 것. 그러나 철강 사업은 이제 ‘굴뚝 사업’ 취급을 받는데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만성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외국인이 급격하게 빠져 나가고 있다.
2023년 3월 처음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50% 아래로 하락하더니 같은 해 5월 19일에는 39.99%로, 40% 선 마저 붕괴된다.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떨어져 지난 9월 5일 현재 29.67%에 그치고 있다. 외국인 영향력 하락은 자연스레 정부의 포스코에 대한 장악력 상승으로 이어진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의 최대 주주는 국민연금(8.46%)이다. 여기에 자사주(6.56%)도 감안해야 한다. 자사주는 주총에서 직접 표를 행사하지 못하지만, 합병·분할·매각 같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나 경영진이 원하는 방향으로 종종 사용된다.
이같은 지분 구조나 과거 전례에 따라 포스코는 다시 한번 국가 주도 정책의 ‘희생양’으로 전락할 위기라는 얘기가 나온다. 설립 부터가 사실상 국영기업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국가 주도 경제개발 계획에 따라 지난 1968년 포스코(과거 포항종합제철)가 설립된다.
당시 포철은 민간기업이지만 사실상 국책기업 역할을 했다. 국가 기간산업을 이끄는 기관차로서 출신 성분(민간 혹은 국영)은 중요하지 않았던 시기다. 그러나 포스코는 엄연히 국민주다.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주요 국가 자산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공기업 민영화가 추진된다. 1988년 부터 정부가 보유한 포스코 지분을 일반 국민에게 매각한다. 1990년대 초 대규모 공모주 청약이 시작되고, “포스코 주식을 사야 애국자”라는 말이 나오며 포스코는 국민주 반열에 오른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4406xnro.jpg" data-org-width="611" dmcf-mid="G93bKRrRW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4406xnro.jpg" width="658">
포스코 최대주주는 국민연금이다. <자료=에프앤가이드>
HMM 인수 여력 충분···“장기적으론 포스코 배당 증가”
증권가에선 포스코가 HMM을 인수하기에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HMM은 산업은행(36%)이 최대주주다. 포스코는 산업은행 지분을 약 7조원에 인수해 최대주주로 올라서려고 한다.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포스코홀딩스의 연결 기준 현금성자산은 지난 6월말 현재 7조23억원이다. 단독 인수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순이익은 사업 관련 비용을 빼고, 세금 까지 낸 후 남는 이익이다. 포스코홀딩스의 순익은 올해 1조3000억원, 내년 2조원, 2027년 2조4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포스코의 이익을 결정하는 또 다른 결정적 요소는 물류비다.
포스코는 철광석 유연탄 배터리소재 등 원재료를 들여오느라 연간 3조원에 가까운 물류비를 쓰고 있다. HMM을 인수하면 단번에 3조원의 비용 절감에 가능하다는 뜻이다. 일부 장기 투자자들은 ‘물류비 감소 → 순익 증가 → 배당 재원 증가 → 주주환원 강화 → 주가 상승’이란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다. 포스코의 배당수익률은 3.62%로, 시중은행 예금금리 보다 1%포인트 이상 높다.
찐 재테크 정보 M+에서 만나세요 더 많은 재테크와 경제 정보는 매일경제신문 유료 플랫폼 매경엠플러스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매경엠플러스’를 쳐보세요.
최근 포스코홀딩스 주주들의 반응이다. 포스코그룹이 해운사 HMM 인수와 관련해 사업성 검토에 나서자 두 주식 희비가 엇갈렸다. 5일 HMM 주가는 곧바로 반등했고, 포스코홀딩스는 하락했다.
포스코는 삼일PwC·보스턴컨설팅그룹(BCG) 등과 대규모 자문단을 꾸려 HMM 인수 타당성과 시너지 창출 가능성을 따져봤다. 검토 결과 포스코의 HMM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는 것.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대규모 인수 자금 부담과 배당 여력 감소를 걱정하며 불만이 가득한 상태다.
투자자 이탈은 단기 주가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 배경은 크게 네 가지다. 정부 주도디스플레이텍 주식
의 ‘정책성 인수’로 인해 주주가치 훼손, 해운 경기를 많이 타는 HMM 자체 리스크, 수 조원대에 달하는 인수합병(M&A) 리스크, 포스코의 철강·2차전지 등 핵심 사업과 무관한 해운사 인수에 대한 반감 등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미국주식
.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1870qrlz.jpg" data-org-width="700" dmcf-mid="WjsckSuSl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모바일릴게임접속하기
et/news/202509/14/mk/20250914104501870qrlz.jpg" width="658">
항구에 정박해 있는 HMM인테그랄호. <사진=HMM>
정부 주도 M&A에 뿔난 포스코홀딩스 주주
주가급락
주식시장 투자자들은 ‘정치적 변수’에 민감하다. 정치적 변수는 실적 추정치에 반영하기 힘든데다 변동성을 키운다는 것. 이재명 정부 들어 포스코그룹은 산업 재해와 관련해 질타를 받고 있다. 포스코그룹 건설사 포스코이앤씨가 먼저 화를 불러왔다. 올 들어 4명의 근로자가 사망했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정부에주식수익율
잘 보이기 위해 정부 입장에서 ‘애물단지’였던 HMM을 떠안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그룹 사업과의 전략적 시너지 여부를 검토헀다”고 답했다.
HMM은 2011~2016년 해운 시장 불황기에 부도 위기까지 갔었다. 2016년에는 한진해운이 파산하기도 했다. 결국 HMM이라도 살리기 위해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막대한 공적 자금을 집어 넣었다. 문제는 지원한 자금 대부분이 영구채(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였던 것.
전환가가 매우 낮아서 주식으로 바꾸면 엄청난 양의 신주가 발행되고,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정부 입장에선 자금을 회수하고 싶어도 주주들의 반발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HMM은 국내 유일의 대형 원양 컨테이너 선사라서 물류 산업을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총대’를 메야 하는 상황이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3173rsjy.jpg" data-org-width="500" dmcf-mid="Yr8JiDXDy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3173rsjy.jpg" width="658">
HMM 현황. <그래픽=매경DB>
다른 대기업들은 “해운은 본업과 맞지 않고 변동성이 크다”며 인수에 소극적이다. 일부 포스코 주주들은 “왜 우리가 빚 많은 ‘집’(HMM)을 자진해서 돈 주고 사려 하느냐”며 볼멘 소리다. 주주들 입장에선 M&A 자금으로 쓰느니 차라리 배당이나 자사주 소각으로 보답하라는 속내가 담겨 있다.
소액주주들은 지난 봄의 ‘주주총회 사태’도 기억하고 있다. 지난 3월20일 포스코홀딩스 주총장 입구는 봉쇄됐다. 회사 측이 노조와의 갈등으로 일단 문 부터 막은 셈이다. 이에 일반 주주들은 주주 권리 행사가 막혔다며 강한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본업인 철강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와중에 중국의 철강 공급 과잉으로 이익이 감소세다. 미래 사업으로 강력하게 추진했던 2차전지 사업은 ‘전기차 수요 둔화 → 배터리 소재 사업성 악화 → 이익 감소 → 목표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3년 7월말 이후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계속 해서 하락세다. 당시 최고점 대비 반토막 이상 나버렸다.
태생이 국책기업···외국인까지 이탈하자 정부 입김
포스코홀딩스에 대한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2023년 초 까지만 해도 50%가 넘었다. ‘철강+2차전지’라는 사업 구조는 외국인 눈에도 매력적이었던 것. 그러나 철강 사업은 이제 ‘굴뚝 사업’ 취급을 받는데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만성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외국인이 급격하게 빠져 나가고 있다.
2023년 3월 처음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50% 아래로 하락하더니 같은 해 5월 19일에는 39.99%로, 40% 선 마저 붕괴된다.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떨어져 지난 9월 5일 현재 29.67%에 그치고 있다. 외국인 영향력 하락은 자연스레 정부의 포스코에 대한 장악력 상승으로 이어진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의 최대 주주는 국민연금(8.46%)이다. 여기에 자사주(6.56%)도 감안해야 한다. 자사주는 주총에서 직접 표를 행사하지 못하지만, 합병·분할·매각 같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나 경영진이 원하는 방향으로 종종 사용된다.
이같은 지분 구조나 과거 전례에 따라 포스코는 다시 한번 국가 주도 정책의 ‘희생양’으로 전락할 위기라는 얘기가 나온다. 설립 부터가 사실상 국영기업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국가 주도 경제개발 계획에 따라 지난 1968년 포스코(과거 포항종합제철)가 설립된다.
당시 포철은 민간기업이지만 사실상 국책기업 역할을 했다. 국가 기간산업을 이끄는 기관차로서 출신 성분(민간 혹은 국영)은 중요하지 않았던 시기다. 그러나 포스코는 엄연히 국민주다.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주요 국가 자산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공기업 민영화가 추진된다. 1988년 부터 정부가 보유한 포스코 지분을 일반 국민에게 매각한다. 1990년대 초 대규모 공모주 청약이 시작되고, “포스코 주식을 사야 애국자”라는 말이 나오며 포스코는 국민주 반열에 오른다.
"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4406xnro.jpg" data-org-width="611" dmcf-mid="G93bKRrRW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4/mk/20250914104504406xnro.jpg" width="658">
포스코 최대주주는 국민연금이다. <자료=에프앤가이드>
HMM 인수 여력 충분···“장기적으론 포스코 배당 증가”
증권가에선 포스코가 HMM을 인수하기에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HMM은 산업은행(36%)이 최대주주다. 포스코는 산업은행 지분을 약 7조원에 인수해 최대주주로 올라서려고 한다.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포스코홀딩스의 연결 기준 현금성자산은 지난 6월말 현재 7조23억원이다. 단독 인수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순이익은 사업 관련 비용을 빼고, 세금 까지 낸 후 남는 이익이다. 포스코홀딩스의 순익은 올해 1조3000억원, 내년 2조원, 2027년 2조4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포스코의 이익을 결정하는 또 다른 결정적 요소는 물류비다.
포스코는 철광석 유연탄 배터리소재 등 원재료를 들여오느라 연간 3조원에 가까운 물류비를 쓰고 있다. HMM을 인수하면 단번에 3조원의 비용 절감에 가능하다는 뜻이다. 일부 장기 투자자들은 ‘물류비 감소 → 순익 증가 → 배당 재원 증가 → 주주환원 강화 → 주가 상승’이란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다. 포스코의 배당수익률은 3.62%로, 시중은행 예금금리 보다 1%포인트 이상 높다.
찐 재테크 정보 M+에서 만나세요 더 많은 재테크와 경제 정보는 매일경제신문 유료 플랫폼 매경엠플러스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매경엠플러스’를 쳐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