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트위터
피효빈민
0
11
2025.09.14 16:06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특별검사 이명현) 사무실에서 직권남용 혐의와 관련 피의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9.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김기성 기자 =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14일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의 3차 피의자 조사에 출석했다.
이날 오후 1시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도착한 신 전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기록회수 상황 점검했나'라는 질문에 "지금 사실대로 다 이야기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하라고 지시했나'라는 질문에 "그런 TIGER인버스국채3Y 주식
적 없다. 명박히 말씀드리겠다"고 답한 뒤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신 전 차관을 지난 10일과 11일 두 차례 불러 조사했다.
신 전 차관은 2023년 7월 3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외 출장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김동혁 국방부검찰단장(육군 준장) 릴게임판매
등과 소통하며 해병대수사단의 수사기록 수정 및 회수 과정 등에 깊이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2023년 8월 1일 유 전 관리관에게 이 전 장관이 이틀 전 해병대수사단의 수사결과를 보고받고 이에 결재했다는 내용을 보고받았다.
또 신 전 차관은 같은날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혐의자 및 혐의 내용, 죄명을 빼고 수사전업주식투자
라는 용어 대신 조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해병대는 왜 말을 하면 안 듣냐'고 말해 외압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그는 2023년 8월 2일 해병대수사단이 순직사건 수사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이후 유 전 관리관 김 전 단장 등과 회의를 갖고 향후 대응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같은날 윤 전 대통령과 세 차례 통화하고 직접 주식매매방법
대통령실을 방문한 사실이 있다.
아울러 신 전 차관은 김 전 사령관이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을 보직해임하는 과정에도 개입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특별검사 이명현)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4단기급등
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지난 2023년 7월 해병대원 사망 사고 조사를 맡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VIP(당시 윤석열 대통령) 격노' 내용을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2025.9.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직권남용 및 모해위증 혐의를 받는 김 전 사령관의 4차 피의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방첩부대장과 대통령 격노 관련해 내부 입막음 계획했나'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과정에 외압 있었나' '신범철 차관이 박 대령 보직해임 시키라고 했나' 등 취재진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하며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사령관은 박 대령에게 'VIP(윤 전 대통령) 격노'를 알린 인물이자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일련의 수사 외압 과정에서 여러 지시 사항을 전달한 '통로' 역할을 했다.
또 그는 박 대령의 항명 혐의 1심 재판에 출석해 대통령 격노를 부정하는 진술을 한 혐의도 있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이 지난 7월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대통령 격노 사실을 알고 있었다며 기존의 입장을 뒤집은 것에 주목해 격노 이후 상황을 집중적으로 캐묻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스1) 김기성 기자 =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14일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의 3차 피의자 조사에 출석했다.
이날 오후 1시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도착한 신 전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기록회수 상황 점검했나'라는 질문에 "지금 사실대로 다 이야기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하라고 지시했나'라는 질문에 "그런 TIGER인버스국채3Y 주식
적 없다. 명박히 말씀드리겠다"고 답한 뒤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신 전 차관을 지난 10일과 11일 두 차례 불러 조사했다.
신 전 차관은 2023년 7월 3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외 출장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김동혁 국방부검찰단장(육군 준장) 릴게임판매
등과 소통하며 해병대수사단의 수사기록 수정 및 회수 과정 등에 깊이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2023년 8월 1일 유 전 관리관에게 이 전 장관이 이틀 전 해병대수사단의 수사결과를 보고받고 이에 결재했다는 내용을 보고받았다.
또 신 전 차관은 같은날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혐의자 및 혐의 내용, 죄명을 빼고 수사전업주식투자
라는 용어 대신 조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해병대는 왜 말을 하면 안 듣냐'고 말해 외압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그는 2023년 8월 2일 해병대수사단이 순직사건 수사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이후 유 전 관리관 김 전 단장 등과 회의를 갖고 향후 대응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같은날 윤 전 대통령과 세 차례 통화하고 직접 주식매매방법
대통령실을 방문한 사실이 있다.
아울러 신 전 차관은 김 전 사령관이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을 보직해임하는 과정에도 개입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특별검사 이명현)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4단기급등
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지난 2023년 7월 해병대원 사망 사고 조사를 맡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VIP(당시 윤석열 대통령) 격노' 내용을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2025.9.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직권남용 및 모해위증 혐의를 받는 김 전 사령관의 4차 피의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방첩부대장과 대통령 격노 관련해 내부 입막음 계획했나'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과정에 외압 있었나' '신범철 차관이 박 대령 보직해임 시키라고 했나' 등 취재진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하며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사령관은 박 대령에게 'VIP(윤 전 대통령) 격노'를 알린 인물이자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일련의 수사 외압 과정에서 여러 지시 사항을 전달한 '통로' 역할을 했다.
또 그는 박 대령의 항명 혐의 1심 재판에 출석해 대통령 격노를 부정하는 진술을 한 혐의도 있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이 지난 7월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대통령 격노 사실을 알고 있었다며 기존의 입장을 뒤집은 것에 주목해 격노 이후 상황을 집중적으로 캐묻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