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접속
이빈소정
0
0
4시간전
[박성우 기자]
미국 보수 청년 단체 '터닝포인트 USA' 설립자 찰리 커크의 피살 소식에 미국 사회가 요동치고 있다. 그가 한국 출국 직후 미국 유타주의 대학 캠퍼스에서 청년들과 토론을 벌이던 도중 총탄에 쓰러졌다는 소식은 불과 며칠 전 일산 킨텍스의 한 기독교 행사에서 그를 실물로 마주한 내게도 큰 충격이었다.
이러한 충격은 나만 느낀 것이 아니었다. 그가 숨지기 닷새 전 그와 인터뷰를 가진 <조선일보> 기자는 15일 "찰리 커크와 한 마지막 인터뷰"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피살 소식을 듣고 기함했다"며 "뜻하지 않게 커크의 '마지막 인터뷰어'가 된 셈"이라고 심정을 토로했다.
이어 기사는 커크에 대해 "일부 국내 언론은 '극우 인사'로 치부했지만, 커오션파라다이스시즌7
크의 말에는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청년들과 열정적으로 소통하던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생전 마지막 인터뷰어로서 고인의 명복을 비는 인간적인 기사와 별개로 이러한 서술은 커크의 실제 발언 기록과 정치적 궤적을 외면한 일방적 미화에 불과하다고 생국내펀드
각한다. '극우 인사'라는 평가가 왜 붙었는지, 그가 어떤 언어와 행동으로 미국 사회의 분열과 차별을 조장했는지 <조선일보>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남편에게 복종하라" 등 과거 혐오발언 언급 없이 '따뜻한 인간미'만 강조
릴게임판매
▲ <조선일보> 기사는 커크에 대해 "일부 국내 언론은 '극우 인사'로 치부했지만, 커크의 말에는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청년주식초보강좌
들과 열정적으로 소통하던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 <조선일보>
커크는 누구보다도 미국 수정헌법 2조, 즉 총기 소지의 권리를 신앙처럼 옹호한 인물이었비츠로셀 주식
다. 그는 공개 연설에서 "하나님이 내려주신 우리의 권리를 지키는 수정헌법 2조를 가지기 위해서라면, 안타깝지만 매년 어느 정도 총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감수할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총기 희생자를 '감수할 대가'로 치부했던 인물이 결국 총탄에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은 아이러니이자 자기모순의 비극이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이 비극적인 모순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외면한 채, 그저 '청년 논객의 열정적인 삶'으로만 그의 죽음을 서술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커크가 가정과 자녀를 소중히 여겼다고 강조하며 이렇게 적었다.
"남편이자 아버지인 그는 '꼭 결혼해서 자녀를 많이 낳으라. 그게 인생의 행복'이라고 했다. 그 말에서 정치적 신념만큼이나 따뜻한 인간미를 느꼈다."
그러나 실제 그의 언행은 여성과 소수자를 향한 차별과 혐오로 가득했다. 지난 2025년 8월 26일 자신의 쇼에서 유명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와 운동 선수 트래비스 켈시의 약혼 소식을 다루며, 테일러를 향해 "남편에게 복종해라, 넌 결정권자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강연 자리에서는 14세 소녀가 대학의 장단점에 대해 질문하자 "대학은 남편을 찾으러 가는 곳"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2024년 9월 8일 공개 토론에서는 10살 여아가 강간으로 인해 임신을 한 상황에서도 임신중절은 안 된다고 주장한 강경 임신중절 반대론자였다.
성소수자를 향해서는 "트랜스젠더 이데올로기는 정신질환"이라고 규정했고, LGBTQ 운동가들을 "알파벳 마피아"라 불렀다. 사회적 소수자를 혐오하고 멸시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해 온 이런 인물을 두고 '따뜻한 인간미'만을 운운하는 것은 일종의 왜곡이라고 볼 수 있다.
커크가 '진영과 이념을 벽을 허물었다'? 정반대의 삶 살았다
가장 심각한 대목은 <조선일보>가 커크를 두고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평가한 점이다. 커크는 누구보다 자신과 다른 진영과 이념을 배척하는 데 애쓴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1월 6일 미 의사당 폭동 직전, 그는 "우리는 80대가 넘는 버스로 애국자들을 워싱턴 D.C.에 보낸다"며 폭력 동원을 선동했다. 2022년 10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 하원의장의 집에 괴한이 난입해 펠로시 의장의 남편을 폭행한 일을 두고는 "중간 선거의 영웅이 되고픈 애국자들은 보석금을 내고 범인을 석방하자"고까지 했다.
이처럼 정치적 폭동을 옹호하고 반대진영 정치인 가족에 폭력을 행사한 범죄자의 석방을 주장했던 커크를 과연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가로 볼 수 있을까.
죽음을 애도하는 것과 삶의 행적을 냉정히 평가하는 건 양립 가능한 일
죽음을 애도하는 일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 그러나 애도와 평가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커크는 생전 내내 혐오와 차별과 함께 폭력을 위시한 극단적 사상을 설파한 인물이었다고 본다.
커크의 죽음은 비극적이다. 그러나 그의 삶을 미화할 이유는 없다. <조선일보>가 보여준 태도는 사실의 맥락을 삭제한 채, 극우 인사의 이미지를 세탁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한 추모가 아니라 영웅화다. 언론은 죽음을 애도할 권리가 있지만, 동시에 삶을 제대로 평가할 책임도 있다.
찰리 커크의 죽음을 애도하는 것과 그의 발언과 행적을 냉정히 평가하는 것은 양립할 수 없는 일이 아니다. 언론이라면 고인이 남긴 모순과 폐해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사회적 교훈을 삼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애도의 길이다.
미국 보수 청년 단체 '터닝포인트 USA' 설립자 찰리 커크의 피살 소식에 미국 사회가 요동치고 있다. 그가 한국 출국 직후 미국 유타주의 대학 캠퍼스에서 청년들과 토론을 벌이던 도중 총탄에 쓰러졌다는 소식은 불과 며칠 전 일산 킨텍스의 한 기독교 행사에서 그를 실물로 마주한 내게도 큰 충격이었다.
이러한 충격은 나만 느낀 것이 아니었다. 그가 숨지기 닷새 전 그와 인터뷰를 가진 <조선일보> 기자는 15일 "찰리 커크와 한 마지막 인터뷰"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피살 소식을 듣고 기함했다"며 "뜻하지 않게 커크의 '마지막 인터뷰어'가 된 셈"이라고 심정을 토로했다.
이어 기사는 커크에 대해 "일부 국내 언론은 '극우 인사'로 치부했지만, 커오션파라다이스시즌7
크의 말에는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청년들과 열정적으로 소통하던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생전 마지막 인터뷰어로서 고인의 명복을 비는 인간적인 기사와 별개로 이러한 서술은 커크의 실제 발언 기록과 정치적 궤적을 외면한 일방적 미화에 불과하다고 생국내펀드
각한다. '극우 인사'라는 평가가 왜 붙었는지, 그가 어떤 언어와 행동으로 미국 사회의 분열과 차별을 조장했는지 <조선일보>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남편에게 복종하라" 등 과거 혐오발언 언급 없이 '따뜻한 인간미'만 강조
릴게임판매
▲ <조선일보> 기사는 커크에 대해 "일부 국내 언론은 '극우 인사'로 치부했지만, 커크의 말에는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청년주식초보강좌
들과 열정적으로 소통하던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 <조선일보>
커크는 누구보다도 미국 수정헌법 2조, 즉 총기 소지의 권리를 신앙처럼 옹호한 인물이었비츠로셀 주식
다. 그는 공개 연설에서 "하나님이 내려주신 우리의 권리를 지키는 수정헌법 2조를 가지기 위해서라면, 안타깝지만 매년 어느 정도 총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감수할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총기 희생자를 '감수할 대가'로 치부했던 인물이 결국 총탄에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은 아이러니이자 자기모순의 비극이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이 비극적인 모순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외면한 채, 그저 '청년 논객의 열정적인 삶'으로만 그의 죽음을 서술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커크가 가정과 자녀를 소중히 여겼다고 강조하며 이렇게 적었다.
"남편이자 아버지인 그는 '꼭 결혼해서 자녀를 많이 낳으라. 그게 인생의 행복'이라고 했다. 그 말에서 정치적 신념만큼이나 따뜻한 인간미를 느꼈다."
그러나 실제 그의 언행은 여성과 소수자를 향한 차별과 혐오로 가득했다. 지난 2025년 8월 26일 자신의 쇼에서 유명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와 운동 선수 트래비스 켈시의 약혼 소식을 다루며, 테일러를 향해 "남편에게 복종해라, 넌 결정권자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강연 자리에서는 14세 소녀가 대학의 장단점에 대해 질문하자 "대학은 남편을 찾으러 가는 곳"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2024년 9월 8일 공개 토론에서는 10살 여아가 강간으로 인해 임신을 한 상황에서도 임신중절은 안 된다고 주장한 강경 임신중절 반대론자였다.
성소수자를 향해서는 "트랜스젠더 이데올로기는 정신질환"이라고 규정했고, LGBTQ 운동가들을 "알파벳 마피아"라 불렀다. 사회적 소수자를 혐오하고 멸시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해 온 이런 인물을 두고 '따뜻한 인간미'만을 운운하는 것은 일종의 왜곡이라고 볼 수 있다.
커크가 '진영과 이념을 벽을 허물었다'? 정반대의 삶 살았다
가장 심각한 대목은 <조선일보>가 커크를 두고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이 담겨 있었다'고 평가한 점이다. 커크는 누구보다 자신과 다른 진영과 이념을 배척하는 데 애쓴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1월 6일 미 의사당 폭동 직전, 그는 "우리는 80대가 넘는 버스로 애국자들을 워싱턴 D.C.에 보낸다"며 폭력 동원을 선동했다. 2022년 10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 하원의장의 집에 괴한이 난입해 펠로시 의장의 남편을 폭행한 일을 두고는 "중간 선거의 영웅이 되고픈 애국자들은 보석금을 내고 범인을 석방하자"고까지 했다.
이처럼 정치적 폭동을 옹호하고 반대진영 정치인 가족에 폭력을 행사한 범죄자의 석방을 주장했던 커크를 과연 진영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통찰가로 볼 수 있을까.
죽음을 애도하는 것과 삶의 행적을 냉정히 평가하는 건 양립 가능한 일
죽음을 애도하는 일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 그러나 애도와 평가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커크는 생전 내내 혐오와 차별과 함께 폭력을 위시한 극단적 사상을 설파한 인물이었다고 본다.
커크의 죽음은 비극적이다. 그러나 그의 삶을 미화할 이유는 없다. <조선일보>가 보여준 태도는 사실의 맥락을 삭제한 채, 극우 인사의 이미지를 세탁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한 추모가 아니라 영웅화다. 언론은 죽음을 애도할 권리가 있지만, 동시에 삶을 제대로 평가할 책임도 있다.
찰리 커크의 죽음을 애도하는 것과 그의 발언과 행적을 냉정히 평가하는 것은 양립할 수 없는 일이 아니다. 언론이라면 고인이 남긴 모순과 폐해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사회적 교훈을 삼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애도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