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크레디아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레벤트리트 콩쿠르 본선을 잊을 수 없어요. 제겐 음향이 무척 중요한데, 카네기홀은 섬세한 소리가 객석 끝까지 전달되는 공연장이죠. 연주하면서 가장 큰 행복을 느끼는 무대입니다."
'바이올린 여제' 정경화(77)는 클래식 연주자들에게 '꿈의 공연장'으로 불리는 뉴욕 카네기홀의 추억을 떠올렸다. 그는 1967년 19세 때 카네기홀서 열린 레벤트리트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2017년 데뷔 50주년 연주회도 카네기홀에서 가졌다. 그리고 오는 11월, 8년 만
리스금융 에 다시 이 무대에 오른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크레디아클래식클럽 스튜디오에서는 정경화와 피아니스트 케빈 케너(62)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11월 미주 투어를 기념해 마련된 자리다. 두 연주자는 미국 무대에 서기 전 한국에서 먼저 순회공연을 갖는다. 지난 13일 평택에서 시작된 공연은 고양(9월 21일), 서울(9
sbi저축은행 채용 월 23일), 통영(9월 26일)으로 이어진다.
이번 공연에서 정경화와 케빈 케너는 세 개의 소나타를 연주한다. 슈만 바이올린 소나타 1번, 그리그 바이올린 소나타 3번,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A장조다.
정경화는 이번 리사이틀 프로그램에 대해 "음악의 가장 높은 경지는 성악이라고 생각한다"며 "바이올린은 노래하는 악기인
무직자주부대출 데, 그중 가장 멋진 건 낭만주의 레퍼토리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정경화와 케빈 케너(크레디아 제공)
특히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는 그의 대표적인 레퍼토리. 케빈 케너를 비롯해 피아니스트 조성진, 김태형, 임동혁 등
회사내규 과 여러 차례 무대에 올린 바 있다. 정경화는 "이 곡은 총 4악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 안에 인생이 다 녹아 있다"며 "관객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왔고, 또 앞으로 어느 길로 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쇼팽 스페셜리스트'로 불리는 케빈 케너는 정경화의 '연주 단짝'이다. 2011년부터 14년간 듀
sbi저축은행 금리 오 무대를 이어오고 있다. '찰떡 호흡'을 자랑하는 두 사람이지만, "성격은 정반대"라고 정경화는 말했다. "제가 직관적이라면 케빈은 머릿속이 꽉 차 있고 섬세하다"며 "서로 다르기 때문에 흥미로운 음악이 나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경화는 지난 5월, 이탈리아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감독으로 선임된 동생 정명훈 지휘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을 동생이 해내고 있어 너무 기쁘다"며 "음악감독은 음악적 실력뿐 아니라 리더십 등 모든 부분에 있어 역량을 갖춰야 가능한 일인데, 동생 실력이 완전히 인정받은 것"이라고 했다.
정경화는 간담회 말미, 후배들에게 당부의 메시지도 남겼다.
"한국 음악 수준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높아요. 한국인의 재능은 정말 놀랍죠. 인내를 갖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면 좋겠어요. 그러면 한국을 따라올 나라는 없을 거예요. 제가 항상 기도하겠습니다."
'정경화&케빈 케너 듀오 리사이틀' 공연 포스터(크레디아 제공)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