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소장섭 기자】
강남대성 QUETTA 전경. ⓒ대성학원
12월 5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이 통지된다. 이에 대성학원은 성적발표 후 해야 할 일들을 정리했다.
수능 성적표를 받으면 종이 배치표, 온라인 합격예측서비스를 통해 내 점수에 따른 정시 지원 가능선을 확인해야 한다. 먼저, 표준점수 또는 백분위 점수의 단순합을 기준으로 큰 틀에서의 군별 정시 지원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종이 배치표를 활용하면 내
바다이야기오락실 성적이 가, 나, 다 군별로 대략 어느 수준의 대학, 모집단위 지원이 가능한 점수대인지 한눈에 볼 수 있어 유용하다.
단, 이 단순합만으로는 정확한 정시 전략 수립이 어려우므로 이후 반드시 대학별 수능 환산점수를 산출해 구체적인 지원 가능 대학, 모집단위를 파악해야 한다. 대학별 수능 환산점수는 대학마다 활용지표, 수능 반영영역 및 반영
모바일바다이야기 비율, 가산점 여부 등이 상이하기에 개인이 이를 일일이 계산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온라인 정시 합격예측서비스를 활용해 정확한 환산점수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정시 합격 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
상위권 주요 대학 및 일부 의, 약학계열은 탐구영역에서 대학 자체 백분위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이 변환표준점수는 수능 성적 발표 직후 일주
바다신게임 일 이내에 입학처 홈페이지에 확정 공지된다. 변환표준점수 활용 대학의 경우, 변환표준점수 적용 기준, 가산점 반영 여부, 특정 백분위에서의 사,과탐 보정점수 차이에 따라 교차지원에 큰 영향을 주므로, 교차지원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면 더더욱 주요 대학의 2026학년도 탐구 변환표준점수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남은 시간 동안은 모의지원을
릴게임온라인 토대로 군별 안정, 적정, 소신 지원 대학을 선별해야 한다. 이때 처음부터 특정 대학이나 학과만을 고집하기보다는, 올해 정시의 흐름을 다각도로 고려해 여러 가지 안을 구성한 뒤 대학을 선별해나가는 것이 좋다. 또한 안정권 대학의 합격 가능성이 높을수록 나머지 두 장을 통한 소신 지원이 가능해지므로, 무난히 지원 가능한 대학을 우선 선별한 뒤 이를 기준으로
뽀빠이릴게임 적정, 상향 지원 대학을 고려해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 시기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수시 미등록 이월인원이다. 대학은 수시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경우 그 빈 만큼을 정시로 이월해 선발한다. 그러다 보니 정시는 모집요강에 기재된 모집인원과 최종 모집인원이 다른 경우가 많다. 수시 이월인원이 반영된 정시 최종 모집인원은 대체로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12월 24일 수요일)~정시 원서접수 시작일(12월 29일 월요일) 사이에 각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올해 각 대학, 모집단위에서 어느 정도의 인원이 이월되느냐에 따라 이미 짜둔 정시 전략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원서접수 전 반드시 정시 최종 모집인원까지 확인해야 한다.
정시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상위권 의대나 선호도 높은 모집단위, 또는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이 단순한 대학의 경우 동점자가 종종 발생한다. 동점자 발생 시 대부분의 대학은 인문, 자연을 구분해 특정 영역의 성적 우수자를 우선 선발한다. 물론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처럼 계열 구분 없이 모든 모집단위에 동일한 영역별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대학도 있다. 그리고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 몇몇 대학은 영역별 표점이나 백분위, 등급 순으로 가려도 끝까지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학생부 교과성적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처럼 대학마다 동점자 처리 기준이 상이하므로, 경쟁이 치열한 모집단위에 지원한다면 정시 모집요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특히, 올해는 성균관대가 나군 모집단위에 한해 백분위를 활용지표로 삼는데, 백분위를 활용할 경우 동점자가 다수 발생하므로 동점자 처리 기준 확인이 매우 중요해진다. 성균관대는 동점자 발생 시 모집군이나 계열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준을 적용, 영역별 표준점수를 활용해 7단계에 거쳐 합격자를 선발하기 때문에 나군이라 할지라도 사실상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를 모두 따져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2026학년도 수능성적 통지 이후 체크사항을 비롯한 입시 관련 정보는 대성학원 공식 블로그와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email protected]】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