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66억 달러(한화로 약 9조7000억원)의 음성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일레븐랩스'가 21일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일레븐랩스 공동창업자 겸 CEO가 21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일레븐랩스 한국 진출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2년 영국에서 설립된 일레븐랩스는 AI 기반 오디오 툴 전문기업이다. 텍스트를 음성으로 바꾸거나, 실감 나는
릴게임한국 다국어 더빙이 가능하며 짧은 목소리 샘플만으로도 화자의 목소리를 AI로 복제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구글 엔지니어 출신의 피오트르 다브코프스키 최고기술책임자(CTO)와 팔란티어 출신의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최고경영자(CEO)가 공동 창업해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성장했다. 두 사람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황금성게임랜드 15년의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베스트 프랜드'라고 한다. 피오트르 다브코프스키 CTO가 기술 담당이라면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제품 담당이다.
현재 5000만명 이상의 월간 활성 사용자수, 66억 달러의 기업가치 평가액, 국내외 고객을 포함한 포춘 500대 기업 중 75%의 활성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AI
골드몽릴게임릴게임 활용도 높은 한국시장 주목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일레븐랩스 CEO는 21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일레븐랩스는 기술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세상의 지식과 이야기, 그리고 에이전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음성 AI 크리에이티브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일레븐랩스는 한국 진출을 위해 지
바다신게임 난해 한국어 텍스트와 음성을 생성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영화나 TV 산업 등의 콘텐츠 제작 과정과 AI 콘택센터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의 빠른 AI 보급 증가율과 높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률, 정부의 AI 육성 의지와 내년 10조원 예산 투입 , 그리고 K팝 K드라마와 같은 콘텐츠의 확장성에 주목했다.
이미
바다이야기#릴게임 이스트소프트, 크래프톤, SBS 등 국내 기업들과 협업해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콘텐츠 제작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성우처럼 연기하고 헛기침까지…AI 보이스 시연
일레븐랩스의 크리에이티브 플랫폼과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나뉜다. 크리에이티브 플랫폼에선 7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고 원작의 감성과 뉘앙스를 실감나게 재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캐릭터의 웃음, 한숨, 감탄사, 숨소리까지 그대로 전달한다. 제작 효율성을 개선해 더빙 시간과 비용을 단축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티 스타니셰프스키 일레븐랩스 공동창업자 겸 CEO가 21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일레븐랩스 한국 진출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실제 이날 보여준 시연에서는 한국어로 쓰여진 글을 AI 성우가 작게 속삭이듯 이야기하거나 중간중간 헛기침을 하기도 했다. 마치 연기를 하듯 대사와 지문을 실감나고 자연스럽게 읽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다양한 오디오 요소들뿐만이 아니라 이미지나 비디오 등 크리에이터들이 작업물을 편집하고 수정해서 완벽한 수준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AI 에이전트 플랫폼은 고객서비스, 콘택센터 등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로컬 엔지니어링 팀이 직접 고객 현장에 나가서 시스템을 이해하고 상품화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했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자사의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도입한 유럽의 대형 디지털은행 사례를 소개했다. 이 은행은 고객 문의에 대한 에이전트 처리 시간을 기존 15분에서 2분으로 단축했고, 신용카드 관련 문의의 50%를 AI가 완전 처리하게 됐으며, 기획부터 상품 출시까지 두 달 미만으로 진행되는 성과를 이뤘다고 했다.
일레븐랩스의 한국과 일본 지사장을 맡고 있는 홍상원 지사장은 "500밀리초 이하의 응답 속도와 초저지연 음성 에이전트가 24시간 다국어로 응대해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 대체가 아닌 인간과 AI의 시너지"라며 "AI가 반복 문의의 70%를 처리하는 동안 상담사는 진짜 공감과 창의성에 필요한 복잡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음성은 상호작용의 도구…"아시아 보이스 AI 허브 될것"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향후 음성 AI 시장의 확장 가능성과 비전을 높게 평가했다. 그는 "음성은 인간이 처음으로 사용한 가장 원초적인 소통 방식"이라며 "음성과 말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주요 인터페이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상원 일레븐랩스 한국지사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일레븐랩스 한국 진출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한 "앞으로는 주변의 모든 콘텐츠와 정보를 현지 언어로 동일한 목소리와 억양, 감정을 담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여행지의 언어로 소통할 수 있게 돼 사람들과 더 깊은 수준에서 이해를 나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음성과 시각, 텍스트를 AI를 통해 결합하고 좀더 개인 맞춤화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일레븐랩스는 딥페이크 악용, 저작권 침해, 불공정 이용 등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3C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3C 프레임워크는 Consent(동의), Control(통제), Compensation(보상)으로 이뤄졌다.
동의는 시작부터 철저한 검증 단계이며, 통제는 추적과 차단시스템, 그리고 보상은 공정한 수익 창출 생태계라고 홍 지사장은 말했다. 일레븐랩스가 운영 중인 AI 음성 마켓플레이스에선 전 세계 1만개 이상의 음성이 등록돼 1100만 달러 규모의 수익을 돌려주고 있다.
홍 지사장은 "한국이 단순히 시장이 아닌 아시아 보이스(Voice) AI의 허브가 되는 그날까지 한국 고객과 함께 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스타니셰프스키 CEO는 "궁극적으로 AI 오디오 기술로 언어의 장벽을 허물고, 음성과 콘텐츠가 실시간 번역과 더빙을 통해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게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보경 기자
[email protected]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