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했지만 개인투자자는 해외 주식과 채권 등을 사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로 환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시장을 활성화해 국내 증시의 기대수익률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달러 유출 흐름을 끊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이 18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가 해외 주식 등을 매수할 목적으로 미래에셋, 한국투자, NH, KB, 삼성, 키움, 신한, 토스, 카카오페이 등 9개 주요 증권사 창구에서 환전한 금액은 올 들어 지난달 15일까지 총 157조6123억원에 달했다. 작년 환전 금액(136조원)을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다. 2023년(97조원)과 비교하면 61% 증가했다.
올 들어 8월
골드몽 까지 국민연금의 해외 주식·채권 투자금 증가분(61조4270억원)과 국내 외환상품시장의 9월 하루 평균 거래액(125조7255억원)보다 많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해외 투자 잔액은 333조6557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43% 늘었다. 이 가운데 81%가 미국 주식·채권 투자액이다.
환차익을 얻으려는 환테크 수요도 급증했
백경게임 다. 대표적 환테크 및 대기 자금 투자처인 달러 환매조건부채권(RP)의 이달 하루 평균 거래 잔액은 211억5714만달러(약 31조79억원)로 작년(184억7276만달러) 대비 14.5% 증가했다.
개인들의 ‘투자 이민’이 가속화하며 고환율이 뉴노멀(새 표준)이 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원화 자산 회피 심리가 환율 불안을 부추
골드몽릴게임릴게임 기고 있다는 점에서다. 코스피지수가 올해 주요국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는데도 개인투자자는 하반기 들어서만 13조원 넘게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근 보고서에서 “원화 약세는 단순한 사이클이 아니라 구조적 자금 유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美주식 기대수익 더 높아"…환율 올라도 달러 쓸어담는 서학개미 원화가치 하
바다이야기오락실 락 뒤엔 '국장' 불신…'투자 이민'이 빚은 자금 유출
작년 초부터 엔비디아와 테슬라 주식을 매달 50만원어치씩 사들이고 있는 직장인 홍모씨(31)는 최근 고환율에도 매수 규모를 20만원씩 더 늘렸다. 그는 “원화 가치가 녹아내리는 것을 보고 장기적으로 미국 주식을 사야겠다는 확신이 생겼다”며 “국내 주식이 상승세지만 원화 기반이기 때문에
바다이야기오리지널 장기 투자 매력은 떨어지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외환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지금과 같은 고환율 상황에서는 매수를 줄이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들어 해외 주식 순매수 강도를 되레 높이고 있다. 원화 자산 회피 심리와 국내 증시(국장) 불신, 부동산 가격의 가파른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 고환율이 해외 투자 부추겨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순매수 금액은 68억1300만달러(약 10조82억원)를 기록했다. 월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달 코스피지수가 처음으로 4000선을 넘기며 급등했지만 서학개미들은 해외 투자 규모를 늘렸다. 국내 주식은 순매도했다. 국내 증시가 본격 상승하기 시작한 하반기 들어 13조원 넘게 팔아치웠다.
‘최약체’가 된 원화 자산에 대한 회피 심리가 커지자 해외 주식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원·달러 환율은 이달 들어 1500원을 위협할 정도로 치솟았다. 글로벌 달러 약세 국면에서 원화 가치는 더 추락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9월 16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달러인덱스가 3.1% 오르는 동안 원·달러 환율은 6.1% 급등했다. 같은 기간 엔·달러(4.6%), 유로·달러(-1.7%), 위안·달러(0.1%) 등의 변동폭과 비교해 원화 가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주식, 금 등으로 원화 자산 헤지(위험회피)를 하려는 심리가 계속되고 있다”며 “인공지능(AI) 열풍 속에서 미국 주식이 장기적으로 더 탄탄할 것이란 투자자들의 믿음이 강하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서학개미 열풍이 계속되면 고환율이 일상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율을 끌어올린 서학개미들이 원화 자산을 피하려고 해외 투자를 늘리면 다시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개인투자자의 달러자산 유출 속도가 둔화해야 환율 안정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한국은 ‘3배 ETF’ 법으로 금지
증권가에선 달러와 미국 증시를 중시하는 개인투자자의 ‘투자 이민’이 구조적인 변화라고 보고 있다. 유동성이 대규모로 풀리면서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통화 가치가 하락하는 흐름과 맞물려 있다는 것이다.
3배짜리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 고위험 상품이 해외 증시에만 상장돼 있는 점도 서학개미 열풍을 불러온 주요 배경 중 하나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국내 투자자는 단기간 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해외 증시에서 레버리지·인버스 ETF, 밈 주식, 암호화폐 관련주 등 변동성이 높은 종목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테슬라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따르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는 한국인 보유 비중이 47%에 달한다. 국내에서는 단일 종목 2배와 3배 이상 레버리지 ETF 상장이 관련 법으로 금지돼 있다.
홍콩계 투자은행 CLSA는 “한국인의 미국 주식 투자 열풍은 값비싼 부동산 가격 및 부의 불평등과 연관돼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코스피지수 4000시대가 열렸지만 개인투자자의 오랜 불신을 달래기엔 부족하다”며 “장기 주식 투자자를 위한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맹진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