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추덕영 기자
얼마 전 딸아이 민애가 KBS2의 ‘옥탑방의 문제아들’이란 예능프로에 출연하는 걸 봤다. 그 예능프로는 나도 오래전에 출연한 바 있는데 부녀가 대를 이어서 출연한 셈이다. 그나저나 민애가 신통하고 신기한 것이 내가 출연한 예능프로를 차례대로 답습했다는 것이다. 맨 처음 tvN의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나오고, 그다음은 CBS의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에 나오고, 이번에는 ‘옥탑방의 문제아들’에 나온 것이다.
번번이 프로그램을 보지만 방송에 출연한 민애는 보는 사람에게 감동을 준다. 지적이면서도 감
바다이야기슬롯 성적인 면모가 특별하다. 빠르고 정확한 어투로 핵심을 짚어가면서 가끔은 울먹울먹 스스로 감정을 드러내 함께 출연하는 사람이나 시청자의 감정선까지 건드려 준다. 그래서 유쾌하면서 울적한 마음을 선사한다. 참으로 묘한 것이, 유머와 흥분과 슬픔이 뒤섞여 한동안 사람의 마음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내 딸이긴 하지만 대단하다는 느낌이 든다.
릴짱릴게임 딸이 공부 열심히 한 '숨은 계기'
이번에 ‘옥탑방의 문제아들’을 시청하는 동안 나는 특별히 민애의 어린 시절 공부 이야기를 듣고 속으로 많이 놀랐다. 태어나면서부터 민애는 예쁘고, 똑똑하고 야무진 아이였다. 학교에 들어가면서도 공부 잘하는 아이였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월요일 조회 때마다 교장 선생님으로부터 상을 받는 아이로 소문
릴게임갓 이 났었다. 저의 엄마는 민애를 가리켜 “싱킬 것이 없는 아이”라고 말하곤 했다. 말하자면 “신경 쓸 일이 없는 아이”란 뜻일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민애가 공부를 잘하는 것은 당연하고 당연한 일이었다. 지금도 같은 생각이다. 그런데 ‘옥탑방의 문제아들’에 나와 공부 비법을 밝히는 민애의 말은 많이 달랐다. 자기가 어려서 공부를 열심히 하
야마토릴게임 게 된 데는 까닭이 있었고 계기가 있었다는 것이다. 우울증에 걸려 언제나 어둑한 표정으로 누워만 있는 엄마가 학교에서 공부 잘한 증거로 상장을 받아다가 보여주는 날만 웃는 얼굴로 벌떡 일어났다는 것이다. 결국은 엄마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공부를 열심히 했다는 이야기인데 이 대목에서 나는 참으로 복잡하고 묘한 감정에 사로잡힌다.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고
릴게임하는법 슬프기도 한 것이다.
더불어 얼마나 스스로가 부끄럽고 작아지는 마음인지 모른다. 어린 민애가 또 얼마나 고맙고 자랑스러운지 모른다. 그랬구나. 우리 민애가 정말로 그때 그랬었구나. 그걸 내가 미처 모르고 저의 엄마 또한 까마득 몰랐었다니! 어린 민애에게 공부는 엄마에게 사랑을 전하는 나름대로 눈물겨운 방법이요 수단이었다니! 방송을 보는 내내 나는 후회스런 마음이 되어 얼마나 여러 차례 눈물을 훔쳐야 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방송을 보던 그 시간, 아내와 나는 서로 다른 장소에 있었다. 아내는 병원 입원실에서 혼자 보았고, 나는 공주의 우리 집 아파트에서 혼자 보았다. 왜 그런가? 지난 10월 20일, 아내가 대전의 한 종합병원에서 무릎 수술을 받고 입원했다. 그래서 내가 난생처음 홀아비가 되어 빈집에 혼자 살면서 밥을 챙겨 먹고 청소하고 빨래하면서 지내게 되었다. 이른바 1인 가정이 된 것이고 독거노인 신세가 된 것이다.
아내가 병원에 입원하고 보니
생각해 보면 이것은 범상한 일 같지만, 우리 부부에게는 매우 심각하고 처량한 상황이다. 아내에게 그렇고 나에게 그렇다. 이미 우리는 오래전 한 차례 헤어지는 연습을 호되게 한 적이 있다. 그것은 2007년도 내가 죽을병에 걸려 대전의 대학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서 장기 입원환자로 지낼 때였다. 그런데 이번엔 아내가 수술하고 장기 입원하는 바람에 다시금 헤어지는 연습을 하면서 살고 있다.
방송에서 민애는 공부를 열심히 하여 우등생이 된 계기는 좋은 상황이 아니라 나쁜 상황이 만들어 준 것이었다고 했다. 가난한 집안에다가 우울증으로 앓는 엄마. 자주 자리에 누우면서 쉽사리 웃지 않는 엄마. 그것은 아이에게 하나의 위기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걸 극복하는 방법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었다고 했다. 이 대목에서 떠오르는 말은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다. 과연 위기는 기회일까? 저마다 그럴까?
우리 부부에게도 지금이 하나의 조그만 위기 상황이다. 언젠가는 벼락같이 닥쳐올 1인 가정, 독거노인의 세월을 미리 연습해 보는 상황이다. 어쩌는 수 없는 일이다. 작년에 98세로 돌아가신 아버지도 어머니가 먼저 소천하신 뒤로 5년 동안이나 혼자서 견뎠다. 나라고 해서 비껴갈 일이 아니고 아내라고 해서 피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인생의 마지막 관문 같은 과정이다.
앞으로 재활 치료 잘 마치면…
“외출하는 길/ 모처럼 겨울 햇빛 좋다며/ 밖으로 따라 나온 아내/ 함께 걷다가 다리 아파/ 더는 못 걷겠노라/ 그 자리에 멈춰 서서/ 먼저 가라고 혼자 가라고/ 손을 흔든다// 이게 무슨 장면의 연출이람?/ 꿈속 같다/ 꿈속에서 만나/ 헤어지는 사람들 같다// 한참을 더 걸어오다가/ 돌아다보니/ 그때까지 그 자리에 서서 아내/ 손을 높이 높이 들어 흔든다/ 어서 가라고 어서 갔다가/ 길 잃지 말고/ 돌아오라고// 더욱 꿈속 같다.”(나태주 시, ‘꿈속 같다’ 전문)
소원하건대 우리 부부에게도 어린 딸 민애에게서처럼 위기가 기회가 되고, 잘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었으면 좋겠다. 이제 1주일만 더 혼자서 견디면 된다. 그러면 아내는 대전의 병원에서 퇴원하여 공주의 한 병원으로 옮겨 재활 치료를 받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좀 더 가까운 거리에서 숨을 쉬면서 살게 된다.
재활 치료만 잘 마치면 다시금 아내는 튼튼한 다리를 되찾아 씩씩하게 걷는 사람이 될 것이다. 제발 그랬으면 좋겠다. 그래서 우리가 조금이라도 더 오래 지상에 숨 쉬는 사람이기를 바라고 같은 집에서 함께 사는 사람이기를 소망한다. 아, 이것은 너무나도 평범하고 작은 소망이지만 얼마나 우리에겐 절실하면서도 커다란 소망인가! 하나님이 좀 더 우리를 돌봐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하는 마음이다.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