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기자]
"홀로 아름답게, 함께 더 아름답게"가 이 아름다운 공동체 정원의 구호입니다.
우연히 전영애 선생님의 유튜브 채널을 보게 되었다. 백발의, 꾸밈 없는, 환하게 웃으시는, 정원일을 손수 하시고, 공부에 몰두하시는 모습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전세금을 털어 마련한 터에 '여백서원'을 짓고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돌려주는 모습을 보고, '어른 김장하 선생님과 같은 '참 어른'이 또 한 분 계시구나!' 하며 가슴이 따뜻해졌던 기억이다. 그러던 중 선생님의 삶과 철학이 담긴 책을 발견했고 보물을 찾은 듯 몰입해서 읽었다.
전영애 선생님(서울대 명예교수, 괴테 석학)은
개인사업자정부지원대출 20여 년간 '여백서원'을 혼자 힘으로 지어, 많은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돌려주고 계신 분이다. 서원을 찾은 사람들은 선생님이 마련한 공간에서 책을 읽고 공부도 한다. 정원을 거닐며 자연과 교감하고 일상을 지속할 힘을 얻는다.
책 속에는 선생님이 일생 공부하고 연구했던 괴테의 삶과 철학, 문학에 대한 통찰과 칠십 년 넘게 살아오신 삶에
무료인터넷 대한 철학과 태도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선생님은 늘 배움에 목 말랐다. 그 시대는 여성이 공부하는 것을 좋게 보지도 않을 때였고, 시대는 암울해서 공부를 마치 나쁜 짓처럼 숨어서 하는 상황이다 보니 배움에 대한 간절함이 깊었다. 그렇게 간절하게, 바보처럼 묵묵히 공부했다. 전공했던 독문학은 선생님에게 가없이 넓은 세계를 보여주었다. 더 많
경제캠프 은 사람, 더 거대한 세계를 경험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은혜이며, 이것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일'이 앞으로 선생님의 역할이라고 하신다.
그렇게 읽고 씀으로써 내 속으로 들어온 그 거대한 세계를 만난다는 것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것이어서 너무 감사하고, 이를 어찌 나눠야 하나 늘 자문하지요. 그렇습니다. 배
고등학교 성적 움은 꼭 나눠야 합니다. -18쪽
삶은 배움의 과정이다. 그것이 학문이든, 경험이든, 지혜이든 내가 배운 것을 진심으로 나눌 수 있다면 더 살맛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정기예금고금리 ▲ 책표지 <괴테 할머니의 인생 수업>, 전영애 지음, 최경은 정리
ⓒ 이정미
선생님은 젊은이에게 섣불리 간섭하거나 조언하지 않으려 명심하신다. 먼저 살았다고 공부했다고 더 잘 알고 더 잘 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신다. 그저 삶으로 보여주신다. '무엇을' 보다 '어떻게' 에 방점을 찍고 함께하는 공동체의 삶을 살아내신다. 현재는 괴테마을 조성하며 '그저 탁월함의 한 예'를 나눠 놓고 가기 위해 매일 매일 열심히 땀 흘리고 계신다.
평소에 선생 티 안 내려고 부단히 노력하는데요. 제가 마지막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에게 선생 티를 한 번 크게 냈습니다. 글 배워 책 읽었거든 바르게 살라고 했거든요. -16쪽
이 말씀이 가슴에 각인되었다. '글 배워 책 읽었거든 바르게 살라' 는 말씀이 우리 사회의 소위 배웠다는 사람들이 새겨 들어야 할 따끔한 회초리 같다.
책의 3장에서는 선생님의 부모님 이야기가 나온다. 종부였던 어머니는 학교 문턱에도 못 가신 분이셨지만, 글이 쓰여져 있는 신문지 조각 하나도 광고 전단지 하나도 안 밟으셨다. 어머니는 '공부한 딸이 틀린 일을 할 일이 없다'며 철석같이 믿어주셨다. 어머니의 딸에 대한 단단한 믿음 때문에 선생님은 결코 나쁜 짓을 할 수 없었다고 하신다. 부모의 믿음은 자식을 바르게 나아가게 하는 큰 자양이 된다.
자식을 대하는 아버지의 태도도 울림이 특별했다. 선생님 인생에 단 두 번 개입했다고 하신다. (어린 딸을 서울로 유학시킨 일과 여성이 많은 대학을 권유했던 일. 결국 선생님의 뜻대로 진학했다.) 큰 그림으로 보고 자식의 선택을 존중하셨다. 물론 시대에 따라 아버지의 상도 변하지만, 헬리콥터 맘처럼 자식을 과잉 보호하고 과잉 관여하는 지금의 시대이기에, 깊이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긴 세월 아버지로부터 들은 말씀이 몇 마디 없습니다. 과묵하신 분이고, 이래라저래라 하는 말씀은 특히 들은 기억이 없고, <중략> 건강을 염려하시던 것과 "천재란 노력하는 능력이다"라고 하신 두 마디가 겨우 귀에 남아 있습니다. - 115쪽
아버지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60대 말부터 91세 세상을 뒤로 하기까지 북알프스며, 에베레스트까지 등반하셨다. 에베레스트 봉우리 몇몇은 최고령 기록을 내셨고 85세에는 세계 두 번째 고령 기록을 내시며 킬리만자로에 오르셨다. 90세 가을에 에베레스트에 마지막으로 가셨다. 정말 대단하신 분이다. 나이에 상관없이 몸을 움직이시고 공부하시고 자식들에게 하루도 부담 주지 않고자 '홀로 향기롭게' 노년을 사셨다. 50 고개 중턱을 넘고 있는 나에게 큰 가르침이 되었다. 대단한 것이 아니어도 나이에 상관없이 주변에 짐이 되지 않고 홀로 움직이고 배우고 나누며 사는 것이 개인적인 희망이다.
지금까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잘 살아왔으니 그러면 된 것이지요. 그래도 조금 더 열심히 잘 해볼걸, 후회가 생기신다면 바로 지금 하십시오. 거대한 일, 멋진 일, 굉장한 일만 하려고 하지 말고,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하세요. 괴테는 "황금을 쌓아두려 하지 마라. 지금 당장 잔돈을 내밀어라" 라고 말했습니다." -163쪽
선생님은 나이가 드니 시간이 부족해서 좋다고 하신다. 안 해도 될 말, 빈말, 쓸데없는 말을 할 시간이 없단다. 좋은 말, 하고 싶은 말 할 시간도, 좋은 사람 만날 시간도 부족하니 자연히 매 순간 좋은 일로 채울 수 있어 좋으시다고. 맞다. 이건 나이든 사람에게만 유용한 것이 아니다. 초변화 시대, 초정보 시대, 초연결 사회일수록 덜어내는 일이 필요하다. 이리 저리 계산하며 무엇이 득이 될지 살피느라 정작 소중한 자신에게 집중할 여유가 없다. 선생님이 살아오신 대로, 때로는 바보같이 생각될지라도, "내 속에서 솟아나려는 것, 바로 그것을 살아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