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의 '지스타 2025' 부스 앞에 수많은 관람객이 아이온2를 체험하기 위해 줄을 섰다./사진=김동훈 기자
[부산=김동훈 기자]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의 메인 스폰서인 엔씨소프트 부스 앞은 신작 '아이온2'를 체험하려는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현장의 열기가 차오르며 땀이 날 지경이었다. 엔씨는 오는 19일 정식 출시하는 이 게임을 시연할 수 있는 자리로 100석을 마련했는데, 평균 4시간을 기다려야 할 정도였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리니지와 같은 엔씨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중장년층 남성일 것이란 고정관념이 있는데, 지스타
야마토게임장 현장의 대기열을 보니 20대 젊은 남성팬뿐 아니라 여성팬도 많이 보여 인상적이었다"며 "게임사들의 저조한 참여로 흥행이 실패할 것이란 우려가 나왔던 지스타를 엔씨가 살렸다"고 했다.
도대체 얼마나 기대되는 게임이길래 사람이 이렇게 몰리는지 궁금했다. 기자는 엔씨의 대표작 '리니지'도 플레이한 경험이 없는 '겜알못(게임을 잘 모르는 사람)
황금성릴게임사이트 '이지만 용기를 내어 체험을 해봤다. 우선 200가지가 넘는 커스터마이징(개인화)을 통해 나만의 개성을 담아 캐릭터를 만든 뒤 '우루구구 협곡'에 당차게 진입했다. 한국형 SNS '싸이월드'에서 아바타를 꾸몄던 경험 덕분에 여기까진 시간이 얼마 걸리지도 않았다.
하지만 캐릭터를 조작할 때 쓰는 쿼티 키보드 입력키가 너무 다양해 걱정이 앞섰
바다이야기게임2 다. 캐릭터 이동은 'W, S, A, D'로 하고, 빠른 이동 또는 회피는 시프트 키를 동시에 눌러야 했다. 타깃 변경, 생명력 회복, 점프, 특정 조건에 따라 발동되는 스킬 사용 등에 사용하는 키도 잔뜩이었다. 행사 진행요원의 설명과 도움을 받았다. 점차 조작에 익숙해진 뒤엔 적의 공격을 잽싸게 회피해 무찌를 때 쾌감을 온전히 즐길 수 있었다. 타격감과
온라인골드몽 함께 느껴지는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경험하며 왜 관람객들이 줄을 섰는지 알듯했다.
네오위즈는 올해 지스타에 2개 부스 규모로 참가했으나 많은 관람객들이 몰렸다./사진=김동훈 기자
엔씨뿐 아니라 넷마블, 크래프톤, 그
릴게임다운로드 라비티, 웹젠 등이 BTC관에 대규모 부스를 마련해 매력적인 게임과 다양한 현장 이벤트로 관람객의 시선을 모았고, 단 2개의 규모로 참여한 네오위즈 부스 앞에도 게임팬들이 잔뜩 모여 11월의 부산을 뜨겁게 만들었다. 비즈니스의 장으로 기능하는 BTB관은 네트워킹 라운지를 과거보다 1.5배 넓게 만들었는데도 기업 관계자들이 가득 들어찼다. BTB관에 자리를 잡은 넥써쓰의 한 관계자는 "다양한 기업 관계자들이 부스를 방문해 활발하게 미팅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전세계 20개국 80개 인디 개발사들이 400개 부스 규모로 전시존을 구성한 곳이나 K-콘솔 게임을 모아 전시한 공간에도 많은 인파가 들어찼다. 게임팬들이 대형 게임사의 유명 작품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 플랫폼에도 관심을 보이는 등 저변 확대양상이 뚜렷하게 보였다. 국내 게임사들이 인기 장르나 플랫폼에 쏠렸던 현상도 상당히 사라진 인상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MMO 장르의 강자 엔씨는 슈터 장르 신작 '신더시티'를 시연하고, 총싸움 게임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크래프톤은 귀여운 캐릭터가 인상적인 '팰월드 모바일'을 선보였다.
코스프레 참가자들이 BTC 전시관 밖에 짐을 내려놓고 준비하고 있다. 한 코스프레 참가자는 "지스타 측이 마련한 준비공간이 있기는 하나 BTB관에 있어 너무 멀고 공간도 좁아서 사실상 이용하기 어렵다"고 했다./사진=김동훈 기자
지스타가 글로벌 게임쇼로서 면모는 다소 아쉽다는 평가도 나온다. 글로벌 게임사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가 12년 만에 지스타를 찾아 많은 게임팬의 기대를 모았지만 오래 전 내놓은 게임을 전시·시연한데 그친게 대표적이다. 지스타가 세계적 게임사의 신작 발표 무대는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올해는 국내 게임사의 참여도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비용절감이 화제로 떠오르는 등 어려운 업계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지스타가 열리는 11월이 각사 신작 발표 시기와 맞으면 모르겠지만, 지스타에 참가하려면 지스타용 시연 모드를 별도로 개발해야 한다"며 "선택과 집중 측면에서 참가 여부를 신중하게 생각하는 기업들이 많다"고 했다.
또한 그동안 지스타는 전시관 외부 공간에도 다양한 부스를 마련했으나 올해는 참여 기업이 거의 없었다는 점도 즐길거리 부족 측면에서 아쉬운 대목이었다. 지스타의 볼거리 중 하나인 코스프레 참가자를 위한 대기공간이 주무대인 BTC관이 아닌 B2B관 주변에 배치된 비효율성도 그렇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게임시장이 글로벌 4위라는 평가를 받지만 지스타의 위상이 그렇지 않은 점은 안타까운 부분"이라며 "다양한 아쉬운 측면들을 보완하고 장기적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동훈 (
[email protected])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