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저녁 7시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서 강희영씨 아버지의 사망 1주기를 추모하는 ‘애틋한 추모식’이 열리고 있다. 허윤희 기자
“이제 그는 천국에서 마음껏 여행하고 있을 겁니다. 남겨진 우리는 그가 남긴 온기를 품고 오늘을 삽니다.”
강희영(53)씨가 1년 전 암으로 세상을 떠난 아버지에 대한 소개글을 읽었다. 그리움이 가득한 그의 목소리는 가늘게 떨렸다. 강씨는 글을 다 읽고 단상에 마련된 아버지의 영정 사진과 들꽃을 바라봤다.
지난 26일 저녁 7시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서 강씨 아버지의 사망 1주기를 추모하는 ‘애틋한 추모식’이 열렸다. 사단법인 ‘여성이 만드는 일과 미래’(여성미래) 회원들이 만든 ‘든
쌍용정보통신 주식 든한 프리카레’가 주최한 추모식엔 강씨의 지인과 지역 주민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부산에 있는 강씨의 어머니와 자매, 친척들은 화상을 통해 추모식을 함께했다.
‘애틋한 추모식’은 혈연 중심의 장례·추모 관행을 넘어 이웃·친구와 함께 애도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든든한 프리카레’는 지난해 12월 임종 관련 공부 모
매커스 주식 임을 시작하면서 ‘자신이 사는 곳에서 존엄한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했다. 회원 대부분이 중장년 1인 가구인 그들은 자신이 맞닥뜨리게 될 죽음에 대해 고민했다. 상업화되고 획일화된 장례식 대신 충분히 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장례식이나 추모식을 만들자고 뜻을 모았다. 지난 7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추모식 신청자와 참가자를 모았다.
주식거래사이트 신청자 중 “아버지가 갑작스레 떠나 애도를 충분히 하지 못했다”는 강씨를 최종 주인공으로 선정했다.
강희영씨가 아버지에게 선물한 운동화. 이제는 강씨가 이 신발을 신고 있다고 한다. 허윤희 기자
강씨는 추모식장에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마련된 ‘메모리얼 테이블’에 있는 책, 운동화 등 아버지 유품에 얽힌 추억을 이야기했다. 강씨는 검은 운동화를 가리키며 “지난해 아버지가 병원에 다닐 때 제가 선물한 것이다. 두달밖에 신지 못하고 돌아가셨다”며 “제가 이 신발이 닳을 때까지 신으려고 한다”고 했다.
추모식 준비위원으로 참여한 전승욱 한겨레두레협동조합 ‘채비’ 이사는 “고인
대주전자재료 주식 이 남긴 글과 말을 기록하고 좋아했던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고인이 살아 있을 때 몰랐던 부분을 발견하거나 함께한 기억이 뚜렷해진다”며 “이를 통해 그리움의 대상이 명확해진다. 떠난 사람에 대한 실존감이 강할수록 상처가 더 잘 치유가 된다”고 말했다. 구은경 여성미래 이사장은 “이별에 대한 진심 어린 애도·추모는 상실의 고통과 슬픔을 잘 겪어내고 남겨진 삶을 살아가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애틋한 추모식’에 온 이들이 남긴 추모 메시지. 허윤희 기자
추모식에 참가한 이들은 자신의 상처와 슬픔을 치유하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강씨의 지인인 이지현씨는 “어머니가 지난 3월에 돌아가셨는데 추모식에 오니 어머니 생각이 많이 난다”며 “앞으로 문득문득 어머니 생각이 나는 시간이 짧아지고 기억이 흐릿해지기 전에 기록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고령화·저출생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장례 문화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1인 가구는 782만9천가구로 전체의 35.5%를 차지한다. 3가구 중 1가구가 혼자 사는 셈이다.
신경아 한림대 교수(사회학)는 “가족 구성이 단출해지고 1인 가구가 늘다 보니 장례를 도맡아줄 이들이 없거나 줄어들고 있다”며 “혈연 중심의 전통적인 장례 문화가 이어질 수 없는 상황이다. 그 대안으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 가족이 돼 치르는 ‘커뮤니티 장례식’ 등 다양한 형태의 장례 문화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윤희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