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4일 “주택 공급을 ‘필사적’으로 할 것”이라며 “새로운 주택이 공급 되면 시가 대비 40~50% 낮은 가격도 가능하지 않겠냐”고 했다. 김 실장은 이와 관련해 “주택 공급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장관급 회의를 조만간 출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펙) 정상회의와 한-미 관세협상을 마무리 지은 뒤 민생 최대 현안인 부동산 시장 안정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드러낸 것이다.
김 실장은 4일 공개된 경제지 공동기자회견에서 “유일한 걱정이 부동산”이라며 주택공급을 늘리기 위해 그린벨트 해제, 재건축·재개발 정책을 전향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휴직자대출그는 이와 관련해 “이달 중 주택공급 관계장관 회의를 만들 것”이라며 “(주택 공급이) 지금 국가적으로 제일 중요한 만큼 관계 장관 회의를 만들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급이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무조건 그 회의체에서 토론할 것이고, 공급과 관련이 있다면 국토교통부는 물론 농림축산식품부, 국방부에서도 장관이 참석할 것”이라고 덧
수수료상한제 붙였다. 지난 6월과 9월, 10월에 발표한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대출 한도 축소와 규제지역 확대를 뼈대로 하는 ‘수요억제’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부터는 군 소유 부지나 그린벨트 활용까지 열어놓고 ‘주택 공급 확대’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김 실장은 “사람들에게 ‘좀 기다려볼 만하다’는 믿음을 주는 게 중요하다”며 “공급대책이 계속 나와주면 국민도 기다려
솔로몬저축은행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상대로 한-미 관세협상에 임하기도 했던 김 실장은 “아내 말로는 내가 잠꼬대로 ‘러트닉’을 불렀다더라”는 일화를 전하기도 했는데, 그는 “국가 대 국가 간 원칙을 갖고 접점을 찾는 관세협상보다, 국내 부동산 정책을 펴는 게 더 어렵더라”고도 했다.
그
네이버직장 는 이와 관련해 “국토부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서울시의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서울시에서 (주택 공급에) 굉장한 병목을 일으키고 있다”고도 했다. 집값을 안정시키려면 서울에 안정적 주택 공급이 우선인데, 재개발·재건축 관련 인허가권을 가진 서울시가 나서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김 실장은 “재건축 재개발의 70~80%는 서울시
시중은행주택담보대출 책임”이라고 했다.
아울러 “몇 천호 단위로 ‘서리풀 담당’ ‘우면산 담당’ 같은 담당자 지정해 필사적으로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며 대규모 택지 개발 관련 특정 사업을 전담할 공무원을 지정하는 제도도 도입하겠다고 했다. 기획재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빵 사무관’ ‘라면 과장’ 등을 지정해 책임감을 부여했던 것과 같은 방식을 활용해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신형철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