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바스키아 특별전에서 만난 탐라 데이비스(63) 감독. 전시장에서 상영 중인 다큐멘터리 ‘장 미셸 바스키아: 빛나는 아이’를 연출했다. 두 살 위 바스키아와 친분을 나눴던 그는 “나는 늙었는데 바스키아는 영원히 젊은 모습”이라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그런 사람들은 인종차별주의자예요. 나를 그렇게 봐요. 야생마, 야생 원숭이, 그렇게 엉터리로요.”
성공한 예술가였지만, 세상의 시선은 차가웠다. 1986년 전성기의 바스키아(1960~88)는 두 살 아래 친구 탐라 데이비스의 카메라 앞에서
릴게임몰메가 그런 속내를 털어놓았다. 이 장면은 20년도 더 지나서야 세상에 공개됐다. ‘장 미셸 바스키아: 빛나는 아이’(2010)다.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장 미셸 바스키아: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적 기호들’ 전시장에서 이 다큐멘터리의 20분 축약본이 상영 중이다. 전편은 티빙에서 볼 수 있다. 일요일인 9일 오전에도 많은 관객이 화면 앞에
바다이야기게임기 서 있었다. 전시 개막 50일째인 11일까지 입장권은 10만장 이상 판매됐고, 주말에는 하루 평균 1500명이 전시장을 찾는다.
9일 전시장에는 다큐 ‘빛나는 아이’의 감독 탐라 데이비스(63)도 있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영화학도 데이비스는 스물한 살이던 1983년 바스키아를 처음 만났다. 그는 LA 거고지언 갤러리에 개인전을 하러
사아다쿨 온 바스키아를 태우러 공항에 나간 아르바이트생이었다. “짐 찾는 곳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트렁크 하나 없이 갈색 종이백 하나 들고 있더라. 어딘가 예술가 같은 카리스마가 있어서 한눈에 알아봤다”고 말했다. 늘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던 데이비스에게 바스키아가 먼저 “난 아주 유명한 사람이 될 거니까, 자 찍어”라고 말했고, 데이비스는 “나도 유명한 감독이 될
오징어릴게임 거야”라고 응수했다. “성공한 흑인 예술가만큼이나 유명한 여성 감독도 생각하기 어렵던 시절이라 이런 대화가 가능했던 것”이라고 그는 돌아봤다.
Q : 1980년대 찍은 영상을 2010년에야 비로소 영화화했다. 왜 이렇게 늦었나. A : “바스키아를 마지막으로 본 건 1988년 여름, 죽기 2주 전이었다. 만년의 바스키아는 쓸쓸했다. 친
릴게임가입머니 구들이 자신을 이용한다 여겨 스스로를 고립시켰다. 친구가 그렇게 세상을 떠나니 그 우정에 오해가 생길까 봐 영상을 공개할 엄두를 못 냈다.”
Q : 다큐를 만들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A : “저작권자였던 바스키아 아버지 제라르의 허락이었다. (2013년 세상을 떠났다) 성공한 사업가였던 제라르는 아들의 이미지를 보호하고 싶어했다. 매우 방어적이었다. 바스키아가 얼마나 위대한 예술가였는지 보여주려는 거지 그를 이용하려는 게 아니라고 설득했다.”
단어와 상징으로 가득한 바스키아의 대작 ‘무제’(1986)를 보는 사람들. 총 153페이지의 창작 노트와 함께 걸렸다. 김종호 기자
데이비스 감독은 뉴 키즈 온 더 블록, 비스티 보이즈, 소닉 유스를 비롯한 뮤직비디오를 150편 이상 연출했다. 지난해엔 세븐틴을 비롯한 보이밴드에 대한 다큐 ‘라저 댄 라이프(Lager than life)’도 연출했다. 이런 경력 덕분인지 ‘빛나는 아이’에는 바스키아의 소년미가 담뿍 담겼다. 그가 가장 좋아했던 비밥(1940년대 미국에서 발달한 템포 빠른 재즈)이 빠르게 흘렀다.
Q : 영화로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A : “‘인간 바스키아’다. 사람들은 그를 잘 모른다. 아름다운, 빛나는 아이였다. 지적이고, 말 잘하고, 재치있고, 따뜻한 사람이었다.”
Q : 당신에게 바스키아는. A : “수수께끼(Enigma)다. 너무 일찍 왔고,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줬고, 죽고 나서 더욱 큰 이름이 됐다는 점에서 예수도 연상된다. 세상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다 여기며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 그게 참 안타깝다. 바스키아는 자기가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질 줄 알았을까? 이 전시를 그가 봤다면 정말 행복해했을 것 같다.”
■ 추천! 더중플-세기의 바스키아스물 여덟, 영원한 청춘으로 남은 바스키아, 어떻게 미국의 대표 화가로 자리잡게 됐을까. 거리의 낙서를 갤러리로 가져온 ‘혁신의 아이콘’ 바스키아가 예술가로 활동한 8년, 짧고 굵은 여정과 그 후의 이야기.
「
QR코드를 스캔하면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 ‘더 중앙 플러스’의 ‘The Art 멤버십’ 가입 링크로 이동한다. 바스키아 특별전을 최저가에 볼 수 있다. 가입자들께는 더 중앙 플러스 구독권과 함께 ‘장 미셸 바스키아: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적 기호들’ 초대권을 드린다.
37년전 죽은 바스키아 만났다…뱅크시가 불러낸 ‘검은 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3687
425억 해골, 그때 시작됐다…장기 뗀 8세에 엄마가 준 ‘책’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1810
28세 바스키아 최후의 작업실…앤젤리나 졸리는 왜 빌렸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8500
새벽 4시, 잠든 마돈나 옆에서…바스키아 1000억 낙서 남기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0076 」
권근영 기자
[email protected]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