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벽, 철조망, CCTV (라말라[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443번 국도. 2025.10.2
[email protected] (라말라·카프르아카브[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 오전 7시께(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어지는 443번국도.
뻥 뚫린 길을 한시간 정도 운전했을 때쯤 하르바타알미스바, 베이트리키아 등 팔레스타인 마을 부근에 이르자 가로등마다 다닥다닥 설치된 감시용 CCTV 카메라가 보이기 시작했다.
언덕 아래에서 갓길로 사람들이 올라서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철조망은 어느 구간부터인가 벽돌을 쌓아올린 분리
서울신용보증 장벽으로 바뀌었다.
연합뉴스는 오는 7일로 만 2년을 맞는 가자지구 전쟁 국면에서 분쟁에 시달려온 또 하나의 팔레스타인 지역, 요르단강 서안을 찾았다.
가자지구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때 장악한 점령지다.
칼란디아 검문소를 지나 카프르아카브 마을에 들어서자 내비게이션 앱이 '우
아파트담보후순위대출 범지역에 진입합니다'는 경고를 띄웠다. 이스라엘이 합병한 땅 일부가 섞여있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통제하지 못하는 구역인데, 이스라엘도 손을 놓는 바람에 범죄가 기승을 부린다.
생존의 통로 (라말라[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원리금균등상환대출 서안 카프르아카브 마을의 분리장벽 일부 구간의 철조방이 뜯어져 늘어진 모습. 2025.10.2
[email protected] 높이가 15m는 돼보이는 분리장벽 위의 철조망이 군데군데 훼손된 것이 눈에 띄었다. 입에 풀칠하려 목숨을 걸고 월경하는 이들의 흔적이다.
한 교민이 "전쟁 발발 후
한국토지주택공사인사 서안에서 이스라엘로 넘어가 일하던 것이 전부 막혀 이쪽 경제가 힘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 지역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서안 주민이 약 14만명에서 7천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철조망에 몸이 찢기거나 담벼락 아래로 떨어져 다치는 경우가 허다하고, 단속에 걸려 멀리 가자지구로 쫓겨나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마침 옆으로 이
해드림인테리어 스라엘군 장갑차가 지나갔다.
검문소에서 인터뷰를 위한 목적지인 팔레스타인연구소(PRC) 건물까지는 직선 6㎞, 자동차로 6분이면 충분한 거리지만 도착해보니 40분이 넘게 지나 있었다.
이날 기자가 인터뷰한 무함마드 쉬타예 전 PA 총리는 "이스라엘이 서안에 설치한 검문소가 921개 이상으로 늘었다"고 전했다. 2023년 유엔 집계가 645개였던 것에 비교하면 약 48% 늘어난 수치다. 2∼3일에 1곳 꼴로 관문이 추가되는 것이다.
야세르 아라파트 (라말라[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 부근 거리의 벽화. 2025.10.2
[email protected]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에 허를 찔린 이스라엘이 서안에서도 치안·대테러 활동을 대폭 강화했고, 주민의 일상은 더 짓눌렸다. 행여 총격이나 칼부림 사건이라도 나면 모든 검문소가 폐쇄돼 옆 마을도 못 가게 된다.
PA 행정수도 라말라에서 만난 사람들은 이방인을 크게 경계하는 눈치는 아니었다. 기자가 거리에서 대뜸 사진기를 꺼내도 제지받지 않았고, 카페 직원에게 아랍어로 "앗살라무 알라이쿰"이라고 인사를 건넸다가 "안녕하세요?"라는 한국어 답례를 받기도 했다.
한 남성은 "한국 여권을 들고 인천공항으로 여행 갈 수 있는 한국인이 부럽다"며 "우리한테도 국가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자와 동갑이었던 그는 "우리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마음에 희망을 품지 않으면 살아갈 수가 없다"며 "우리에게는 '수무드', 회복력이 있다"고 말했다.
전시 관람 (라말라[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의 아라파트 박물관. 2025.10.2
[email protected] 라말라에는 마무드 아바스 현 PA 수반의 관저 바로 앞에 PA 초대 수반 야세르 아라파트의 무덤이 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아라파트가 말년 이스라엘의 공세 속에 사실상 갇혀 지냈던 PA 옛 정부청사 건물은 그를 기리는 박물관이 됐다.
이곳 여성 직원은 2004년 숨진 아라파트의 체내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며 독살설 의혹을 진지한 표정으로 설명했다.
그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 평화 구상'을 물었더니 "나는 트럼프를 안 좋아한다"면서도 "어떤 식으로든 휴전과 평화가 이야기된다는 사실 자체로 반길 일인 것 같다"는 답이 돌아왔다.
"안녕하세요" (라말라[요르단강서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의 한 카페. 2025.10.2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