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27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2025 국중박 분장대회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사자 보이즈 분장을 한 인플루언서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5.09.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김예겸 인턴기자 = 화면 밖으로 번진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인기에 이른바 성지순례를 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배경지로 관심을 끈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해 다른 박물관 등에는 다양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설명이 부족해 언어장벽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입국관광
STX조선해양분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관광객 1237만9498명 중 중국·일본·대만 국적 외국인을 합하면 728만4501명(5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일본어 화자 관광객이 찾는 박물관 등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로 적힌 설명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달 24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외국인 관람
실적개선주 객은 줄을 늘어서고 입장을 기다리고 있었다. 케데헌 인기와 함께 엄청난 규모의 소장품 대부분을 무료로 볼 수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방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줄을 뚫고 입장한 이들은 곧장 난관에 부딪히는 모습이었다. 한 중국인 관람객은 전시관 사이를 돌아다니며 한국어와 영어로만 적힌 전시안내문을 보고는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이내 한자
성진지오텍 주식 가 적힌 해설문을 찾아 분주하게 이동하는 모습이었다. 일본인 관광객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일본 오사카에 살면서 활동하는 50대 여성 김하나씨는 지금껏 일본 작가 10명과 같이 방문한 적이 있지만 이들 중 영어를 구사하는 2명을 제외하면 모두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다고 귀띔했다.
동부CNI 주식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은 특별전 '두 발로 세계를 제패하다' 언론공개회를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서 갖고 손기정 선수의 여정을 함께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과 월계관, 특별 부상품이었던 고대 그리스 투구 등 전시품 18건을 선보인다. 이번 특별전은 광복
주식의기본적분석 80주년을 기념하여 손기정(1912~2002) 선수가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발자취를 조명하는 전시이다. 2025.07.24.
[email protected] 김씨는 "이들은 그저 맨눈으로 보기만 한다"며 "설명이 정확히 없다 보니 그림을 구경하는 느낌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문화에 관심이 많아도 자세한 설명이 없으니 이해하기 어려워한다"라며 "중간중간 있는 전시관 설명은 일본어가 있지만 내용이 길다 보니 잘 안 보는 편"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박물관을 관람한 중국·일본인 방문객은 이해의 폭이 넓지 않다고 털어놨다.
중·근세관에서 만난 중국인 유학생 리웨이(가명·23)는 "영어에 비해 중국어 설명이 확실히 부족하다"라며 "중요한 정보는 적혀 있기는 하지만 상세한 내용이 없어서 아쉬웠다"고 후기를 남겼다.
리는 "처음에 한국인 친구랑 와서 전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는데 혼자 오니 상세한 설명이 없어서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 깊게 이해하기 어려워서 아쉬웠다"면서 "중국어 해설이 추가된다면 특히 친구들에게 더 많이 추천할 것 같다"고 부연했다.
도자기관을 둘러보던 일본인 쓰요시(70)와 도모미(50) 일행은 "우리는 영어를 할 수 있어서 크게 다가오지는 않았다"면서도 "영어를 못하는 일본인에게는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과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메기 강 감독이 21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사유의 방'을 살펴보고 있다. 2025.08.21.
[email protected] 중국·일본어는 주로 전시관별 설명에만 반영돼 있고 전시물 안내문에는 표기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탓이다.
누리집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박물관 누리집에는 중국어와 일본어 설정이 있지만 전시관까지만 설명만 해당 언어가 제공되고 전시물 설명은 모두 영어로 표시된다.
경복궁과 함께 많은 관광객이 찾는 국립고궁박물관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현장을 넘어 누리집은 영어로도 작품 설명이 온전히 제공되지 않는다. 게다가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은 더욱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외국인 관광객 60%가량을 차지하는 두 언어 화자는 관람의 폭을 제한받는 상황에서 전문가는 언어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케데헌 흥행 뒤로 박물관 관람객 수가 증가세가 굉장히 가파르다고 들었다"면서 "영어권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에서 (관광객이) 오는 만큼 그에 걸맞은 준비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정 평론가는 박물관에서 느끼는 언어장벽이 한국 문화 확산에도 영향이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관람객이 박물관에 케데헌만 보러 오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서 다른 유물이라든지 한국 문화와 연관된 콘텐츠를 보고 이해하고 싶어 할 텐데 언어장벽을 없애주면 그만큼 이해의 깊이가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재근 문화평론가는 "많은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편안하게 그 문화를 접하려면 언어적인 진입 장벽 문제가 해소돼야 한다"라며 "번역 인프라나 안내 표지판 등이 완비돼야 더 많은 외국인을 한국에 오도록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