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날야마토 ㎨ 온라인파칭코 ㎨

피효빈민 0 6 09.25 14:09
바다이야기상어 ㎨ 꽁머니 ㎨└ 97.rcs333.top ┞[서울=뉴시스] 하다임 인턴 기자 = 23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시장에 추석 선물 세트가 한가득 쌓여 있다. 2025.09.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하다임 인턴 기자 = "몇 년 전 추석에는 사람 발 디딜 틈이 없었어요. 그 정도로 사람이 많았는데…"
서울 성동구 마장동 축산물 전문 시장. 추석을 며칠 앞둔 23일 오후, 분주할 줄 알았던 시장은 의외로 조용했다. 점포마다 가지런히 진열된 한우 선물세트가 명절 분위기를 알리지만 이를 둘러보는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고기 냄새는 코끝을 자극했지만 정적만 감도는 시장에선 상인들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종목조회


[서울=뉴시스] 하다임 인턴 기자 = 23일 오후 2시 서울 마장동 축산시장의 한산한 모습. 2025.09.24. [email protected]


축산물을 파는 김선환(48)씨는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예년 같지 않은 판매량에 기운이 빠진다고 했페어퍼코리아 주식
다. 김씨는 "평일에는 사람이 없어요. 그래서 요즘 되게 힘들어요. 경제가 안 좋으니까 마트에서 싼 걸 사죠"라고 말했다.
추석 선물세트 주문량이 작년에 비해 30% 가량 줄었다는 게 시장 상인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40대 상인 A씨는 "항상 30개 주문하던 단골이 올해는 20개만 가져갔어요"라며 "개수를 맞춰야 하는 손님은 작은 소포장으앳스타
로 바꾸더라고요"라고 말했다.
이처럼 명절을 앞두고 시민들의 '짠물 소비'가 두드러지는 건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의식해 상인들도 상품 구성을 조정하는 등 고육지책을 꺼내 들고 있다.
상인 황근엽(49)씨는 "경기가 안 좋다보니 요즘은 10만원 넘는 선물은 부담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아요"라며체리마스터 릴게임
"그래서 저희도 그 안에서 최대한 알차게 구성하려고 신경을 써요. 10만원대 구성에도 꽃등심과 살치살 같은 인기 부위를 넣어서 가격을 맞추고 있어요"라고 전했다.
상인들은 경기 침체 외에도 '온라인 구매 확대'를 상권 위축의 이유로 짚었다. 황씨는 "코로나 이후에 완전히 판도가 바뀌었어요"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시는 분들이 많CME
이 줄었어요"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하다임 인턴 기자 = 23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지하상가에서 한 상인이 추석 선물세트를 정리하고 있다. 2025.09.24. [email protected]


인근 동대문구 청량리 경동시장도 사정은 비슷했다. 추석이면 손님들도 북적여야 할 한과 가게 앞은 한산했고, 60대 상인 B씨는 울상으로 가게 앞을 지키고 있었다. 그는 "지금 문 닫으려고 해요"라며 "코로나 이후 폐백이며 이바지며 다 줄었어요. 명절 선물로 나가는 건데 요즘은 보러 오는 사람이 없어요"라고 토로했다.
가게 안쪽에는 팔지 못한 선물세트 박스들이 수북이 쌓여 있었고, B씨는 한숨을 쉬면서도 취재진에게 약과를 한 봉지 건넸다.
과일을 파는 상인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포장 박스를 정리하던 60대 상인 C씨는 "안 나가요. 반도 안 나가. 물가는 비싸고 손님들은 지갑을 안 여니까요. 원래 50박스씩 하던 사람이 이번엔 19개만 했어요. 절반도 안 되는 거죠"라고 말했다.
또 다른 상인 D씨는 한숨 섞인 목소리로 '해외여행'을 이유로 들었다. "돈이 없어서 안 쓰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전부 외국에 놀러가니까 그런 거죠"라며 "작년보다 한참 덜 나가죠. 작년의 3분의 1 수준밖에 안 나가요"라고 우울해했다.
그는 "요즘 같은 세상에 한가위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냥 가위로 잘라버리고 싶네요. 하하"라며 농담처럼 웃었지만, 웃음 속에는 무거운 한숨이 느껴졌다.



[서울=뉴시스] 하다임 인턴 기자 = 23일 저녁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 시장 포도박스 한가득 실은 화물차의 모습. 2025.09.24. [email protected]


저녁 8시, 청량리 청과물시장은 분주한 화물차들로 북적였다. 하지만 40대 운전사 E씨의 표정은 무거웠다. 그는 "지난해보다 (물량이) 많이 줄었어요. 절반이 죽었어요. 지금 이게(포도박스) 여기에 꽉 차고 다른 차 한 대 더 와야 하는데 다 남잖아요"라고 말했다.
백화점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인근 동대문구의 한 백화점에서 홍삼을 팔고 있는 한 직원은 "정기휴무 수준으로 손님이 없어요"라고 토로했다.
다만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반응도 있었다. 청량리 청과물시장에서 과일 가게를 운영하는 김종호(67)씨는 "확실히 소비쿠폰 효과는 있어요"라며 "소비쿠폰은 이런 재래시장에서 쓰기 때문에 그걸 가지고 나오는 분들이 많아요. 이번에 2차 지원이 시작되니까 영향이 또 있을 것이라고 기대가 돼요"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소비 위축의 원인을 단순한 경기 침체를 넘어, 미래에 대한 불신과 전반적인 침체 분위기에서 찾고 있다.
건국대 김시월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비는 단순히 물건을 사는 행위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기대의 표현"이라며 "앞으로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어야 소비가 늘어나는데 지금은 불확실성과 불경기가 피부로 체감되기 때문에 소비가 위축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