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 [촬영 손대성]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주요 잠수함들의 하사 보직률이 턱없이 낮아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국민의힘) 의원이 해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함정별 간부 보직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장보고급 잠수함'인 박위함과 이종무함 하사 보직률은 0%였고 안창호함의 보직률도 34%에 그쳤다.
상사 보직률은 박위함 216%, 이종무함 228%, 안창호함 137%로 각 잠수함의 하사 계급 공백을 상사 계급들이 메꾸고 있는 형편이다.
구축함도 하사 보직률이 저조했다. 대조영함은 28.6%, 율곡이이함은 39.1%
2학기 국가장학금 , 광개토함은 53.5%를 기록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연안 방어와 고속 기동 임무를 위한 주요 유도탄고속함의 경우에도 현시학함 35.7%, 김수현함 35.7%, 임병래함 50% 등 하사 보직률이 50% 이하를 기록 중이다.
갑판, 조타, 무장, 사통, 전탐 등 해군 전투력 발휘와 직결되는 1직군 부사관들의 낮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은 보직률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광개토함, 동해함, 대청함의 하사 보직률은 각 69.4%, 65.0%, 65.9%에 불과했다.
해군 주요 함정의 하사 보직률이 턱없이 낮은 것은 해군이 신규 부사관 모집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신임 하사 선발률은 2020년 89.7%, 2
국민은행 공인인증서 021년 88.9%, 2022년 86.5%, 2023년 62.4%, 2024년 54.7%로 매년 하락하고 있다.
특히 올해 9월 기준 선발률은 43.3%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 의원은 "하사의 공백을 현재 중사, 상사 계급이 대신하고 있지만, 머지않아 숙련된 적정 부사관 숫자 유지에 해군은
개인신용등급조회 많은 애를 먹을 것"이라며 "하사들이 환경이 열악한 함정 근무를 기피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획기적인 승선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 처우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잠수함 승조원 유출 현상도 함께 지적됐다.
국방위 소속 황희(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90명, 2023
소상공인창업자금대출 년 71명, 2024년 80명 등 최근 3년간 총 241명의 승조원이 전역(조기전역 및 승조자격 해제)했다. 연 80~100명가량인 양성 인원을 고려하면 우려되는 수준이다.
이 역시 열악한 근무환경 탓으로 분석된다.
승조원들도 1회 작전 임무 시 약 3~4주간 외부와 단절된 밀폐된 공간 및 수중 수 백m 위험한 상황에서 장기간 긴장 상태로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일 근무시간은 당직 8시간, 훈련·정비 4시간 등으로 약 12시간에 달하며, 휴식 시에도 좁고 개방된 거주 공간으로 인해 사생활 보장이 극도로 제한된다.
위생 환경은 더 심각한 실정이다.
좌변기 1개당 15~25명이 이용해야 하며, 승조원 1인당 거주 공간은 손원일급 잠수함 1.2평, 장보고급 잠수함 1.1평이다.
실내 공기는 이산화탄소가 대기의 8.3배, 일산화질소는 2.9배에 달해 만성피로와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황 의원은 "잠수함 승조원들은 필수 전략자산이자 핵심 인력이고, 1인당 연간 수천만 원의 교육비를 들여 양성한 전문 인력"이라며 "장려수당 등 파격적인 수준의 보상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