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경남 양산시 물금읍 낙동강 물금선착장 주변 강물이 녹조로 초록빛을 띠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단체의 공기 중 조류 독소 검출 주장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 및 한국물환경학회에서 3년간(2022~2024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기 중 조류 독소는 검출되지 않았음."
지난해 10월 환경부가 내놓은 보도자료 일부다. 윤석열 정부 당시 환경부는 여름철마다 녹조가 창궐하는 낙동강 인근 대기 중 녹조 독소 존재 여부에 대해, '불검출됐다'는 결과를 거듭 밝혔으나 의혹을 말끔하게 해소하지는 못했다. 정부 조사 방식이 석연찮다는 반박이 뒤따라서다.
일례로 환경부 용역으로 2023년 물환경학회가 수행한 '수돗물 및
저당설정 에어로졸 조류 독소 분석'은 녹조가 극심한 여름철 대신 9, 10월에 시료 채취가 이뤄졌다. 농산물 녹조 검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도 4대강 인근에서 생산된 쌀을 바로 조사하는 대신, 지역 미곡종합처리장, 마트 등 유통 단계 쌀 시료를 검사해 '부실 조사' 비판이 제기됐다. 그 외에 시료 채취 방법, 녹조 독소 검사법 등 여러 사안에서
카드비교 정부와 환경단체 간 공방은 계속됐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녹조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녹조 종합대책 마련 계획 및 낙동강 녹조 수질검사·정보공개 방식 전면 개편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환승론대출 새 정부 출범 후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사과하는 등 신뢰 회복에 나서면서, 민관은 이달부터 함께 공동조사에 나선다. 논란이던 조사 방법론에도 합의를 했다. 분석법은 그간 환경부가 주로 채택해 온 방법(LC-MS/MS)을 쓰고, 물 시료를 채집하는 채수 위치는 그간 환경단체 지적처럼 녹조가 가장 많이 밀집되는 물가에서 하는 식이다. 공기
한국장학재단 공인인증서 시료는 수변 5m 내에서 포집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어렵게 공동조사의 첫발을 뗀 만큼, 이번엔 제대로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 냉정하고 과학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수년간 위해성 연구는커녕 '검출 여부'를 놓고서도 합의가 안 된 탓에, "제2의 페놀 사태"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참사"라는 식의 공포감만 부풀
디딤돌대출 중도상환 려졌다. 녹조 독소가 검출돼도, 극미량이거나 노출량이 많지 않다면 건강에는 문제가 없기에 장기간 추적 관찰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현욱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녹조 독소 위해성 연구는 실험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보건·환경공학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노출 기간부터 노출량, 노출 시나리오, 에어로졸 대기 확산 모델, 인체 노출 수용체 등 과학적 접근을 위해 합의해야 할 것이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위해성은 결국 노출 농도와 시간의 문제이고 과학적으로 위해성 확인이 되려면 최소 몇 년간 추적 관찰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나실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