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분양가 인상까지 가속하면서 주거 가치가 높은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를 선점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평)당 1937만원으로 전년 대비 3.3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도 분양가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1년 동안 충남(17.8%)과 충북(14.6%), 부산(12.5%) 등 지방 일부 지역들은 서울(8.64%)과 경기(5.3%)보다도 훨씬 더 높은 분양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의 청약 열기는 고조되는 중이라고 분양업계는 분석
일본 인터넷 한다. 분양가 인상과 더불어 대출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의 대표 격인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분양가가 더 오르기 전에 대출 규제가 더 강화되기 전에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는 주택 수요자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서 분양한 ‘오티에
1억 5천 대출이자 르 포레’는 40가구 모집에 2만7000건 이상의 청약이 몰리며 평균 688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지난달 경기 과천시 주암동에서 분양한 ‘디에이치 아델스타’도 52.3대 1의 청약 경쟁률로 1순위 청약 마감했다.
지방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 7월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분양한 ‘르엘 리버파크 센텀’ 전용면적 84㎡는 56가
국민은행아파트전세자금대출 구 모집에 6517명이 몰리며 116.4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달 부산 수영구 남천동에서 분양한 ‘써밋 리미티드 남천’ 전용 84㎡도 57가구 모집에 약 1만3000건의 청약통장이 몰리며 226.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러한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 선호 현상은 앞으로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공급이 감소하고 있
개인회생절차기간 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수도권 아파트 착공 실적은 10만6048가구로 전년 대비 13.8% 줄었다. 부산시도 지난해 주택 착공 실적이 1만6707호로 전년 대비 1975호 감소했다. 이는 최근 10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로 내 집 마련을 합리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미 분양가 책정이 완
1% 대출 료된 곳을 노려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러한 가운데 SK에코플랜트는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서 ‘드파인 광안’을 선착순 분양 중이다. 총 1233가구 규모로 SK에코플랜트의 프리미엄 브랜드 ‘드파인’이 최초로 적용된 곳이다.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서는 롯데건설이 ‘청주 롯데캐슬 시그니처’ 총 962가구 중 전용 67~84㎡ 459가구를 공급 중이다. 이 단지는 롯데캐슬의 상위 브랜드인 ‘롯데캐슬 시그니처’가 적용된다.
포스코이앤씨는 대구 수성구 범어동에서 ‘어나드 범어’를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시행사인 대구엠비씨부지복합개발피에프브이㈜가 런칭한 하이엔드 브랜드 ‘어나드’가 적용된다.
드파인 광안 투시도. 피알페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