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프놈펜 국제공항. 게티이미지뱅크
캄보디아에서 열린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출국했다가 고문을 당한 끝에 현지에서 숨진 채 발견된 한국인 대학생 사건을 계기로 캄보디아에서 잇따르는 한국인 납치·감금·살인 사건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다. 라오스와 미얀마, 태국의 접경 지역인 이른바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활개치던 보이스피싱, 로맨스 스캠 범죄 조직이 캄보디아로 옮겨가면서 한국인을 노린 취업사기, 감금 피해가 급증했지만 우리 정부가 범죄 확산세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총력 대응을 주문하자 외교부는 캄보디아 내 여행경보를 확대했고 경찰도 캄보디아 측과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직접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코리안데스크는 해외 공관이
괜찮아 사랑이야 아니라 현지 경찰 기관으로 직접 파견돼 한국인 대상 범죄를 전담하는 한국 경찰관이다.
고수익 일자리를 미끼로 한국인을 캄보디아로 유인한 뒤 감금하고 범죄에 가담시키는 취업사기는 지난해부터 급증했다. 12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현지 공관에 취업사기·감금으로 신고된 건수는 2022년 1건, 2023년 17건에 불과했지만 20
스타브로커 24년 220건으로 크게 늘었고 올해도 8월까지 330건이 접수됐다.
시각물_최근 5년간 캄보디아 내 한국인 취업사기 후 감금 신고 현황. 시각물=김대훈 기자
지난 8월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납치됐다가 숨진 채 발견
무직당일대출 된 대학생 A씨도 '취업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갔다가 현지에서 '웬치'라 불리는 범죄단지에 감금된 것으로 전해졌다. A씨와 함께 감금됐다가 지난 8월 구출된 B씨는 "A씨가 너무 맞아 걷지도, 숨도 못 쉬는 상태였으며 병원으로 이송 중 사망했다"고 박 의원 측에 증언했다. 또 이달 2일에도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호텔에 감금됐던 C, D씨가 박 의원 도움으로
연봉 실수령액표 빠져나왔다. C씨는 정보기술(IT) 업무를 하면 월 800만~1,500만 원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막상 도착하니 보이스피싱을 시키는 범죄단지였다. 일을 거부하자 "고문할 것"이란 협박이 이어졌다. 두 사람은 다른 지역 범죄단지로 옮겨져 수갑을 찬 채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로 구타당했다. 기절하면 얼굴에 물을 뿌려 깨운 뒤 폭행이 이어졌다. D
가계자금대출 씨가 텔레그램 구조 요청을 보내 현지 경찰이 찾아왔지만 신고가 발각돼 탈출에 실패했고 다시 시아누크빌로 보내진 이들은 "한 번 더 신고하면 파묻겠다" "태워버리겠다"는 위협을 받았다. C씨의 구조 요청으로 현지 경찰이 호텔로 찾아와 160여 일 만에 겨우 탈출할 수 있었다.
캄보디아가 한국인 대상 각종 범죄조직의 거점으로 부상한 건 한국인 취업사기 문제로 악명이 높았던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을 외교부가 지난해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한 뒤 일부 조직들이 옮겨간 데 따른 결과라는 진단이다. 일당들은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과 시아누크빌주, 캄폿주 보코산 지역 등에 범죄단지를 구축하고 중국, 일본, 한국 등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피싱, 스캠, 불법 온라인 도박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정 지역이 아니라 여러 도시에 점조직처럼 흩어져 여행금지 지역 설정도 쉽지 않다. 신고를 받아 위치 파악이 된 뒤에도 현지 경찰이 적극 수색, 출동하지 않아 범죄 조직이 그사이 다른 거점으로 피해자들을 이동시키거나 현지 경찰들이랑 공모하는 경우도 있어 수사에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단순 취업사기로 감금된 피해자들 외에 범죄에 일부 가담했다가 피해자가 되는 사례도 있다. 지난해 캄보디아에서 납치됐다가 외교 당국에 의해 구출돼 2월 귀국했던 20대 남성은 3개월 만에 캄보디아에 재입국해 범죄단지에 들어갔다가 지난 8월 현지 경찰에 검거됐다. 정부 관계자는 "돈을 벌기 위해 다시 간 것으로 보인다"면서 "처벌받을까 두려워 신고를 주저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우리 국민 피해가 반복되자 경찰청은 캄보디아 경찰 당국과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논의하기로 했다. 오는 20~23일 서울 여의도에서 국제경찰청장회의가 개최되는데 23일에 캄보디아와 양자회담을 갖고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및 경찰 파견 등을 의제로 다룬다. 코리안데스크가 설치되면 필리핀, 태국에 이어 세 번째다. 현지에서 숨진 한국인 대학생의 부검 및 시신 송환 작업도 속도를 낸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합동으로 이달 내 캄보디아를 방문해 시신 부검을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국가수사본부장의 캄보디아 방문도 추진한다. 아울러 경찰은 인터폴, 아세안폴이 참여하는 국제공조 협의체를 만들고 초국경 범죄 합동작전도 전개할 계획이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유럽연합(EU)도 협정을 맺고 '유로폴'이라고 하는 다국가 간 국제형사기구를 설치했듯 한국도 국제공조 체제를 굳건하게 갖출 수 있는 협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현모 기자
[email protected]김나연 기자
[email protected]허유정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