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파라다이스게임다운로드 ㅆ 바다신2다운로드 ㅆ÷ 12.rtb667.top ㎒게티이미지뱅크
“에세이나 자기계발서는 즐겨 읽는데 기독교 서적엔 좀체 손이 안 갔어요. 재미보단 교훈 위주일 거 같아 좀 부담스러웠거든요. 여기서 보니 그런 책만 있는 게 아니네요.”
가을비가 내리며 흐린 날씨가 이어진 지난 18일 정오.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근의 삼성제일교회(유대영 목사)에 들어선 독특한 책 장터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신학과 기독출판사의 신간 소식 등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 ‘오늘의 구약공부’(오구공)와 ‘신학 배송’이 기독교 소형 출판사 16곳과 합심해 문을 연 제1회 ‘책터’ 현장이다. 이번 행사를 위해 예배당과 카페, 주차공간을 개방한 교회가 추수감사절 행사인 ‘감사 나눔 북 페스티벌’과 연계하면서 판이 더
중국관련주 커졌다. 이곳을 찾은 이 교회 남궁호(42) 집사는 “기독교 서적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며 “출판사 설명을 직접 들으니 읽어 보고 싶은 책이 참 많아 여러 권을 샀다”고 했다.
각 교회와 유튜브 채널, SNS에서 알음알음 책터 소식을 듣고 전국서 찾아온 사람들의 발걸음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린 행사 내내 끊이
원풍물산 주식 지 않았다. 기독 유튜버와 출판사, 70년 전통의 지역 교회. 꽤 생소한 이 조합은 어떤 계기로 ‘자체 도서전’을 여는 데 뜻을 모았을까. 개성 뚜렷한 기독교 소형 출판사의 책 속에서 독자들이 얻어간 경험은 어떠했을까. 각양각색의 기독 양서와 200여명의 독자가 만난 이날 현장을 정오부터 반나절 간 밀착 취재했다.
2010년급등주 소형 출판사의 재발견
행사를 기획한 ‘오구공’ 운영자 전원희(가운데) 목사와 관계자. 기독 출판사 지우 제공
주식투자자금 “벌써 한 차례 방문객이 휩쓸고 갔습니다. 경기도 포천에서 온 한 군종 목사님은 일찍 와서 구경하더니 행복한 표정으로 책을 한 아름 안고 가셨어요.”
각각 구독자 1만8000여명과 1000여명을 보유한 유튜브채널 오구공과 신학 배송 운영자로, 이번 행사를 기획한 전원희 오후다섯시교회 목사가 기자를 맞으며 한 말이다.
하나니켈2호 전 목사는 ‘히브리어로 읽는 모세오경’(복있는사람) 등을 펴낸 작가이기도 하다.
행사장 입구 한쪽엔 책갈피 용 가름끈과 각종 스티커가 배치돼 있었다. 자신만의 책갈피를 만드는 DIY 체험공간이다. 인근 책상엔 출판사 부스를 모두 방문해 기념 스탬프 16개를 모으면 원하는 책을 한 권 더 주는 ‘스탬프 미션’용 지도도 놓여 있었다.
이날 책터에 참가한 출판사는 구름이머무는동안과 도서출판 다함, 베드로서원과 비아, 홍성사와 CUP 등 16곳. 이들 출판사 관계자들은 주력 작품을 접이식 테이블 위에 펼쳐놓고 방문객에게 책의 강점을 일일이 설명했다.
방문객의 취향이 타사 작품과 더 맞을 것 같을 땐 ‘저 출판사 부스로 가보라’고 안내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이현주 사자와어린양 대표는 “여기 나와 있는 출판사 책 대부분을 읽어서 내용을 알기 때문에 타사 책도 추천해 줄 수 있다”고 했다. “이곳 출판인 대부분이 품앗이하듯 각 사의 신간을 서로 읽고 격려하기 때문”이다.
책터에 참가한 출판사 대표나 편집장 가운데는 중대형 출판사 출신이거나 신학을 전공한 경우가 적잖다. 바꿔 말하면 국내외 작품을 보는 심미안을 갖춘 뒤 차별화된 색채 등을 추구하려 독립한 경우가 꽤 된다는 얘기다. 이들이 그간 소개되지 못한 작품이나 낯선 형식의 책을 뚝심 있게 발굴하는 데 진력하는 이유다.
국내선 흔치 않은 신학자의 기독 소설을 주로 펴내온 이혜성 북오븐 대표는 “그간 책이 재미없어서 독자가 찾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오늘 보니 우리를 몰라서 책을 접하지 못한 분들이 정말 많더라”며 “우리 책과 출판사를 재발견했다는 의견을 접할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책의 매력, 여기선 더 잘 보이네’
지난 18일 서울 강남구 삼성제일교회에서 열린 제1회 ‘책터’ 현장을 찾은 참석자들이 한 출판사 부스에서 책을 살펴보고 있다. 기독 출판사 지우 제공
책을 사랑하는 20대 대학생과 직장인, 자녀의 신앙 교육용 책을 찾는 3040세대 부모, 목회·신학 서적을 살펴보러 온 목회자 및 신학도…. 책터를 방문한 이들은 연령대와 직업뿐 아니라 방문 목적도 각양각색이었다.
경기도 죽전우리교회 청년 진다솔(24)씨는 한 기독 인스타그램에서 소식을 접하고 책터를 찾았다고 했다. 진씨는 “온라인 서점에선 기독교 서적을 이곳처럼 한눈에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여기선 책을 만든 분이 직접 설명을 해 주니까 작품의 매력이 더 잘 느껴지고 알게 됐다”고 했다. 같은 교회에서 진씨와 함께 온 동갑 친구 김주연씨 역시 “책 속 좋은 문장을 소개해 주셔서 해당 책을 훑어봤는데 정말 내용이 괜찮았다”고 했다.
강동근(43) 꽃동산교회 부목사도 온라인에서 공고를 보고 동료 목회자와 함께 온 경우다. 주로 신학 서적을 구매한 강 목사는 “온·오프라인 서점에선 베스트셀러 중심으로 책을 소개하지만 여기는 출판사가 택한 작품 위주라 더 다양한 책을 만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책터엔 출판사 관계자뿐 아니라 여러 저자도 현장을 찾아 독자와 소통했다. 출판사 비아토르는 신간 ‘소설이 내게 말해준 것들’ 저자인 번역가 홍종락씨를 초대했다. 이곳 부스에 들른 방문객은 홍씨의 사인이 담긴 책을 구매하며 자연스레 담소를 나눴다.
SNS 등에서 소문난 저자나 출판인과 인증사진을 찍는 이들도 있었다. 독서모임에 참여해 정기적으로 기독서적을 읽는다는 이경희(44)씨도 그중 한 명이다. 이씨는 “한곳에서 여러 기독서적과 저자, 출판사 관계자를 만날 기회가 흔치 않은데 이런 자리가 마련돼 참 반갑다”는 소감을 전했다.
상생을 위한 동행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KPIPA)의 2024년 상반기 ‘출판산업 동향’에 따르면 2023년 말 현재 국내 출판사 수는 7만9564개다. 이 가운데 도서 발행 실적이 있는 출판사 중 연간 1~5종을 내는 소규모 출판사는 전체 수치의 74.2%에 달한다. 소규모 출판사가 많은 현상이 기독출판계에만 두드러지는 건 아니란 얘기다.
하지만 출판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베스트셀러가 필요하고 이는 어떤 출판사라도 쉽지 않은 과제다. 홍보비가 넉넉지 않은 소형 출판사라면 더욱 그렇다. 전 목사가 “기독출판계 사정은 잘 모른다”면서도 이번 자리를 기획한 이유다.
그는 2년 전 서울국제도서전에 갔다가 부스에 참여한 기독출판사 수가 자신이 아는 것보다 훨씬 적은 걸 보고 의문이 들었다고 했다.
전 목사는 “얼마 전 한 1인 출판사 대표에게 물어보니 ‘비용이 부담돼 못 갔다’고 하더라. ‘그럼 작은 출판사끼리 자리를 마련해보라’고 했더니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답이 왔다”고 했다. 이어 “‘내가 판 벌이면 오겠느냐’고 했더니 ‘다들 좋아할 것’이라고 하더라”며 “이후 16곳 출판사 대표에게 기획안을 보냈고 모두 참가하겠다는 회신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자리가 독자와 출판사, 교회 모두에 득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확신했다. 전 목사는 “저도 그랬지만 기독교인 대부분이 그간 읽은 책과 비슷한 책을 주로 구매하는 편”이라며 “다양한 기독서적을 만나는 기회가 늘면 여러 책에 관한 관심과 수요도 늘고 작은 출판사 운영에도 도움이 되리라 본다”고 말했다.
책터 현장을 둘러보는 유대영 삼성제일교회 목사와 윤성원 원로목사. 기독 출판사 지우 제공
공간을 내어준 유대영 삼성제일교회 목사 역시 독서 문화 고취를 통한 ‘지적인 그리스도인 양성’에 공감했다. 유 목사는 “요즘 특히 이단으로 어려움을 겪는 교회와 성도가 적잖은데 더 많은 이들이 건전한 출판사의 양서를 읽으며 분별력을 갖추길 바라는 마음”이라며 “매년 가을이면 기독서적을 읽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내년부터 매년 정례화하려 한다”고 말했다.
폐장을 한 시간쯤 앞둔 5시쯤 되자 다소 인적이 뜸해졌다. 여유를 찾은 출판인들은 서로의 부스를 찾아 책을 구매하고 웃으며 안부를 나눴다. 전 목사는 “독자와 출판사, 교회는 기독출판계의 상생을 위해 꼭 필요한 존재”라며 “이 세 가지 중 어떤 것도 쇠퇴하지 않도록, 서로 협력하며 함께 문화를 만들어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양민경 기자
[email protected]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