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브리핑] 北 외무상, G7 비핵화 요구에 담화 발표
[미디어오늘 미디어오늘]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의 북한 비핵화 공동성명에 대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반박 담화, 한미 공동 설명자료(Joint Fact Sheet) 발표,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하락 등이 14일 자 신문에서 비중 있게 다뤄졌다.
北 외무상, G7 비핵화 요구에 담화 발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G7의 비핵화 요구를 “우리 국가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로 규정하고 핵보유를 정당화한 담화를 발표했다.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은 담화의 핵심 내용을 거의 동일하게 전달했다. 최 외무상이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며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 한 핵보유를 영구화
릴게임사이트 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할 것”이라고 밝힌 내용이 중심이었다.
중앙일보와 한겨레는 여기에 전문가 분석을 추가했다. 중앙일보는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의 말을 인용해 “북한은 현재 지정학적 환경에서 핵무력이 가장 효과적인 안보 수단이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자신들의 핵보유 정당성을 재차 강조하는 모습”이라며 “G7 비핵화 결의를 핵보유국
릴게임종류 지위 부각을 위한 모멘텀으로 활용하는 측면도 있다”고 짚었다.
한겨레는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의 견해를 추가로 실었다. 양 교수는 “자극적인 표현이 없다는 점에서 수위조절 느낌이 있다”며 “비판 대상에 미국을 직접 거명하지 않는 점, 핵위협론, 핵보유 헌법화론을 강조한 것은 핵보유국 대 핵보유국이라는 북미간 핵군축협상을 염두에 둔
야마토게임장 듯하다”고 해석했다.
팩트시트 발표 지연 이유는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한미 관세·안보 협상의 최종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 설명자료를 발표했다. 핵추진 잠수함 건조 추진,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에 대한 미국 지지 확보, 미국 상선 및 해군 함정의 국내 건조 가능성 등이 핵심 내용이었다. 모든 언론이 이
골드몽 대통령의 발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뤘다.
한겨레는 발표 내용 외에 이어진 질의응답을 상세히 전하며 협상 과정의 이면을 조명했다. 이 대통령이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된 이유에 대해 “미국 정부 입장은 이미 정상외교에서 대체적인 내용은 확정됐다면서도 실제 세부 문안 작성에서는 매우 다른 내용을 제시해왔다”며 “우리 대한민국에서도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라 글자 하나, 사안 하나 소홀히 할 수 없어서 세부 내용 정리와 아주 미세한 내용까지 치열한 논쟁이 있었다”고 밝힌 내용을 길게 인용했다. 이 대통령은 “대체로 짐작하시듯, 우라늄 농축이나 핵 재처리 문제에 대해 미국 정부 내에서 약간의 조정과정이 필요하지 않았나 생각된다”고도 했다.
한겨레는 협상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대목도 실었다. 이 대통령은 “정치적 입장이 다르더라도 국익과 국민을 위해서 합리적 목소리를 내주면 좋은데, 빨리 합의해라, 빨리 못한 게 무능한 거다, 상대방 요구 빨리 들어주라는 압박을 내부에서 가하는 게 참으로 힘들었다”고 말했다.
한겨레는 별도 기사 <위성락 “핵잠, 한국서 건조…처음부터 끝까지 이 전제로 논의”>를 통해 핵추진 잠수함 건조 장소 논란을 정면으로 다뤘다.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필라델피아 조선소 건조'를 언급하며 발생했던 혼선을 해소하는 내용이었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그 문제에 대한 정상 간 논의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에서 건조를 전제로 진행됐다. 미국에서 논의하는 얘기는 거론되지 않았다”며 “정상 간 대화 과정에서 어디서 건조하느냐 문제가 한 번 제기된 적이 있었는데, 이 대통령께서 '우리가 여기서 건조한다'고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다른 언론들이 발표 내용을 요약 전달하는 데 그친 반면, 한겨레는 협상 과정의 어려움과 핵심 쟁점의 해소 과정을 입체적으로 보도했다.
한편 백악관은 14일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를 공개하며 한국산 자동차 관세 15% 인하, 반도체 최혜국 대우, 의약품 관세 15% 이하 적용 등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중앙일보, 서울신문, 한국경제, 경향신문, 국민일보 등은 관세 인하 품목과 수치를 상세히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경향신문은 <백악관 “차 관세 15%·반도체 최혜국대우·우라늄 농축 지지”···한·미 공동 팩트시트>에서 대미 투자, 관세, 한국 시장 개방, 동맹 현대화, 원자력 파트너십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대장동 항소 포기와 대통령 지지율 하락 연결한 언론
한국갤럽이 14일 발표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59%로 전주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부정 평가는 32%로 3%포인트 상승했다.
한국경제, 중앙일보, 매일경제 등 일부 언론은 제목에서부터 대장동 논란과 지지율 하락을 직접 연결했다. 한국경제는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에 李 지지율 4%p 떨어진 59%>를, 중앙일보는 <李대통령 지지율 4%p 내려 59%…“대장동 항소포기 영향”>을 제목으로 달았다. 매일경제는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에 李 지지율 4%p 떨어진 59%>에서 “갤럽 관계자는 '지난주와 비교하면 긍정 평가 이유는 거의 변함없으나,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 지적이 2주째 가장 많은 가운데 대장동 사건 언급이 새로이 포함됐다'며 '이는 월초 여당이 추진하려던 일명 재판중지법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 대통령 관련 사건에 대한 검찰의 미항소 과정이 논란된 탓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고 전했다.
미디어오늘이 'AI 뉴스 브리핑'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지식 콘텐츠 스타트업 언더스코어가 생성형AI를 활용해 국내 주요 언론사 기사들을 이슈별로 비교한 뒤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해당 기사는 미디어오늘 편집국의 검토 및 편집을 거쳤으며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편집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