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11.16.
[email protected] /사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결정은 '변화 속 안정'이었다. 이벤트성 파격보다는 업의 본질에 집중하는 선택이다. 이런저런 쇄신의 명분으로 조직을 흔들기보다 실적과 본원적 경쟁력에 초점을 맞췄다.
삼성전자가 21일 발표한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는 대상자가 4명이다. 승진 1명, 위촉업무 변경 3
황금성게임랜드 명 등이다. 주요 사업부장 등 경영 최일선을 책임지는 자리는 변화가 없었다.
일각에서는 인사 폭이 클 것이란 관측도 나왔었다. 앞서 정현호 부회장의 용퇴와 사업지원TF(태스크포스)의 상설조직화(사업지원실로 재편), 신임 박학규 사업지원실장(사장) 임명 등으로 컨트롤타워가 재편되면서 후속 세대교체성 인사가 나올 수 있다는 예상이었다.
바다이야기게임방법 9년 여간 이 회장을 괴롭히던 사법리스크가 지난 7월 대법원 무죄 확정 판결로 해소됐다는 점도 이번 인사의 관전 포인트였다. 더 이상 재판 등에 시달리지 않고 '정상 경영'을 할 수 있게 된 이 회장이 2022년 회장 취임 이후 사실상 '첫 인사'를 하는 게 아니냐는 관점에서다. '이재용의 삼성'을 보여줄 밑그림이 될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골드몽게임 인사 관련 갖가지 추측이 나돌았다.
그러나 결론은 단순했다. 이 회장은 말 그대로 '사업지원'을 책임질 컨트롤타워를 새로 꾸린 대신 사업을 현장에서 진두지휘하는 경영진은 그대로 뒀다. 전영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DS부문장과 메모리사업부장을 그대로 맡아 반도체 사업 전반을 지속해서 이끈다.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대표이사에 새로
야마토게임하기 선임되면서 DX부문장 직무대행에서 정식 DX부문장으로 임명됐으며 MX사업부장도 그대로 유지한다. 지난 4월 한종희 전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부재 이후 전 부회장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됐지만 이번 인사로 양대 부문장이 대표이사를 맡는 2인 체제로 다시 복귀하면서 안정감을 갖췄다.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 전체적으로 실적 개선이 이뤄지는 국면
야마토게임 에서 현 경영진에게 힘을 실어준 인사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수퍼사이클(초호황기) 등을 맞아 기술력 회복을 바탕으로 드라이브를 걸어서 본궤도에 올라오고 있는 중인데 이를 좀더 우상향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며 "인사 고려 요소에서 무엇보다 업의 본질에 충실한 이 회장의 스타일을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말이 잘 달리고 있는 만큼 기수 교체 등 불필요한 변화보다는 더 격려하는 주마가편(走馬加鞭)식 인사라는 얘기다.
(서울=뉴스1) = 31일 경기 수원시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창립 56주년 기념식에서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0.31./뉴스1 2025.10.3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노태문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 /사진제공=삼성전자
다만 양대 연구 부문 수장은 새 얼굴이 맡았다. AI(인공지능) 등 판을 바꿀 미래 신기술 분야의 인재 발탁 차원에서다.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 부사장이 DX부문 CTO(최고기술책임자·삼성리서치장 겸직)로 이동하며 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동안 전영현 부회장이 겸직해 온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원장에는 박홍근 사장이 새로 선임됐다.
삼성전자는 "'AI(인공지능) 드리븐 컴퍼니(Driven Company)'로 전환과 반도체 미래 신기술 연구를 위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를 DX부문 CTO와 SAIT 원장에 배치했다"고 밝혔다.
유일한 사장 승진자인 윤 사장은 MX사업부에서 IoT&타이젠 개발팀장, SW(소프트웨어)플랫폼팀장, SW담당 등을 역임한 소프트웨어 전문가다. 지난해 말부터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로서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미래 유망기술 투자를 이끌어 왔다. 앞으로는 DX부문 CTO로서 모바일·TV·가전 등 주력사업과 AI, 로봇 등 미래 기술 간 시너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SAIT 원장으로 새롭게 선임된 박 사장은 1999년 미국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된 이후 25년 넘게 화학·물리·전자 등 기초과학과 공학을 넘나드는 연구를 이끌어 온 글로벌 석학이다. 나노기술 전문성을 기반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 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분야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조만간 부사장 이하 정기 임원인사와 조직개편도 발표할 예정이다.
박종진 기자
[email protected] 김남이 기자
[email protected] 최지은 기자
[email protected] 기자
[email protected]